- 영문명
- A Study on Experiences of Full-time Employe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 Counselo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지영(Oh Ji Young) 홍지선(Hong Ji Se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4호, 537~5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전업직장인이 상담학 학습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경험에 내재되어 있는 현상의 본질이 무엇인지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상담대학원 3학차 이상에서 졸업 1년 이내인 전업직장인 7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은 직장 경험 10년 이상으로 상담 분야와는 다른 직종의 직업 활동을 경험한 30대 후반부터 50대 초반으로구성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90분에서 120분 정도의 심층 면담 후 필요시 전화나 문자로 추가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5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묶음, 8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현재의 불안정을 탈피하고자선택한 상담학 공부’, ‘상담학 학습과정에서 맛본 변화들’, ‘직업과 학업 병행에서 오는 심리적 어려움’, ‘학습을 해갈수록 무르익어가는 마음’, ‘상담하는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운영’. 직장인으로 10년 이상 근무하며 안정적인 진로를 영위하고 있는 참여자들이 새로운 분야인 상담학 학습에서 경험하는 체험의 세계는 한마디로 ‘상담학을 통한 성장으로 현 직장에서 전문성을 업그레이드하며 상담하는 직장인으로서의 삶을 운영함’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학 학습과정에서 겪은 경험과 그 의미를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교육 및 정보제공을 위한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one han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who are full-time employees and enroll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in counselor education, and on the other hand, to phenomenologically reveal the meaning behind their experiences.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full-time employees who are in counseling graduate school for more than 3 semesters or within 1 year of graduation, and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consisted of those in their late 30s to early 50s who had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experienced vocational activities in different occupations from the counseling fiel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and after an in-depth interview of 90 to 120 minutes,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phone or text message if necessary.
Results As a result, 5 categories, 19 topic bundles, and 81 topics were derived. The five categories are as follows. ‘studying counseling to break away from current instability’, ‘making good changes during the counseling course of study’, ‘fa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arising from both occupation and academic affairs’, ‘maturing the mind through learning in counselor education’, and ‘running a life as an employee also doing in counseling job’. In conclusion, participants, with over 10 years of full-time work experience and a stable career will go to counseling, a new field, and the world of experience can be summarized as “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ies upgrades professionalism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running a life as an employee also doing counseling job.”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learning in counselor education, and based on this,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