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undamental Research for Sports Record Education: Focus on Copyright of Sports Record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천보근(Cheon, Bo-Geun) 임재구(Lim, Jae-Goo)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5권 제1호, 87~9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국문 초록
학교체육에서 스포츠 기록을 교육함은 숫자, 글자, 모양 및 초상을 비롯하여 그 기록을 도출하기 위한 고유하면서도창의적이고, 다양한 노력 즉, 저작권이 함께 교육되어야 한다. 이는 스포츠가 결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함을 교육함이더욱 타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기록에 대한 저작권의 이론적 개념은 정리된 바 없어, 스포츠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틀이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스포츠 저작권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로, 스포츠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용을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스포츠 기록, 스포츠 정책, 스포츠법 등의 다양한 선행연구 및 문헌들에 기초한 문헌고찰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같다. 첫째로 스포츠 선수 기록의 기록은 그 성격에 따라서 개인정보, 경기기록, 초상 그리고 기타 기록으로 구분된다. 둘째, 스포츠 선수의 기록에 대한 선수 본인의 저작권은 저작권법에서 정의한 요건상 제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영문 초록
Educating about sports record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hould encompass not only numbers, letters, shapes, and portraits but also the unique, creative, and diverse efforts involved in producing those records. Copyright should be an integral part of this education. This is because emphasizing the process rather than the outcome in sports education is more valid. However, in th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the theoretical concepts of copyright regarding sports record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leading to a significant lack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nurturing sports talents. Therefore,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sports copyright education, with the aim of organizing the content of education centered around sports records. The research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and documents related to sports records, sports policies, and sports law.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cords of sports athletes' achievement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natur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game records, portraits, and other records. Secondly, the copyright for a player's records is conditionally recognized based on the criteria defined in copyright law.
목차
서론
스포츠 선수의 기록 개념
스포츠 기록의「저작권법」상 저작물 인정 요건
스포츠 기록에 대한 저작권 보호 여부
논의
결론 및 제한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