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ussell, Bergson, and Problems of Binary Oppositions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이홍섭(LEE, Hongseop)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3권 제2호, 161~1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버트난드 러셀이 1912년 모니스트에 게재한 「베르그손의 철학」(“The Philosophy of Bergson”)에 나타난 20세기 초반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들 중 한 명인 베르그손에 대한 러셀의 비판의 문제점을 면멸히 검토하고자 한다. 러셀에 따르면 베르그손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이원론이며 물질과 생명, 공간과 시간의 이분법적 대립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러셀의 비판은 베르그손이 물질과 생명을 함께 아우르는 지속의 개념을 통해 이원론을 넘어서 일원론을 지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근대 서구의 인식론의 기본 틀인 주체와 객체라는 이분법적 설정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또한, 사유의 방식으로 지성이 아닌 직관을 중시하는 베르그손의 철학을 반지성주의라는 러셀의 진단은 들뢰즈가 베르그손주의에서 자세히 검토하고 있듯이 배르그손에게 직관은 지성에 대해 이분법적 대립의 관계가 아니라 추상적이고 매개적인 지성적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서 본질을 사유하는 것이라는 점을 올바르게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obe critically Bertrand Russell’s attack on Henry Bergson,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e article, “The Philosophy of Bergson,” published in The Monist in 1912. According to Russel, the philosophy of Bergson is fundamentally dualistic, depending on the binary opposition between matter and life, space and time, Yet, Russel’s such a critique overlooks that Bergson seeks to a monism which merges matter with life by viewing both of them in terms of duration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ualistic division subject and object, the fundamental frame of the modern epistemology of the West. In addition, Russell fails to grasp accurately that for Bergson, intuition is not a binary opposition to intellect but the way of thought that penetrate into the essence of matter and life byovercoming the abstract and mediatory way of thinking of intellect.
목차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