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Teachers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뢰(Lei Liu) 최인수(Insoo Cho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957~9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 교사들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을 비교하여 국가 간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한국 중학교 교사 174명과 중국 중학교 교사 187명 총 36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 교사들은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유창성, 의사소통력, 독창성, 전문성, 융통성, 존중, 개방성, 배려, 탈 고정관념, 격려 등을 순으로 언급하였다. 둘째, 중국 교사들은 창의적인 교사의 특성으로 독창성, 의사소통력, 전문성, 적용력, 융통성, 진취성, 교육에 대한 열정, 유창성, 존중, 유머 등을 언급하였다. 셋째, 양국 교사들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인지적 특성에서는 많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 반면에 정의적인 특성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국 모두 창의적인 교사의 정의적인 특성보다는 인지적 측면을 더 중요하게 여기며, 중국 교사들은 한국 교사에 비해 창의적인 교사의 인지적 측면 특성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교사들 간의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암묵적인 인식 차이를 밝힘으로써 두 국가의 교육체계와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d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teachers possessed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China. the study aimed to analyzed the cross-country variances and contribute to comprehension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oth nations.
Method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174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187 middle school teachers in China.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freely c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subsequently analyzed from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teachers ranked fluency, communication skills, originality, expertise, flexibility, respect, openness, consideration, breaking stereotypes, and encouragement as the foremost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in that order. Conversely, Chinese teachers mentioned originality, communication skills, expertise, applicability, flexibility, progressiveness, passion for education, fluency, respect, and humor as the key traits. While certai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eachers displayed similarities across both coun-tries, disparities were observed i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both countries placed greater em-phasis on the cognitive aspect of identifying a creative teacher, rather than the affective aspect. Chinese teachers exhibited a higher emphasis on the cognitive aspect than their Korean counterparts.
Conclusions This study has effectively demonstrated dissimilarties in implicit perceptions regarding creative teach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educato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nticipate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prevalent in both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