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아(SUA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527~5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여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353명의 자료를 최종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학교적응 척도, 우울 척도를 선정하였다.
결과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과호보적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학교적응, 우울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우울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는 학교적응과 우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양육태도와 관련된 전문화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을 높여주고 우울을 낮추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학교적응 향상과 우울 예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affect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60 male and female student enrolled in high school in Busan and Gyeongnam, Date 353 finalists excluding unresponsive or unscrupulous responses were used of final result analysis. The collected is analyzed by SPSS ver 24.0 program.
Result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resilience,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sub-factor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school adaptation. Third, the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depression.
Conclusions There for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depression, if parents excessive over-protection is reduced and resilience is improved adap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depression can be reduced.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preventing de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