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가윤(gayun Kim) 박희진(hee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511~52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여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를 살피고,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기관풍토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관풍토,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수업리더십을 매개로 한 기관풍토가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successful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To this end,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co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ully media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eachers' instructional leadership is important for improving teacher-child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