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다솔(Dasol Rim) 김영화(Young Hwa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447~4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연구는 단일민족 배경의 초·중등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조망수용과 다문화 행동의 관계에서 편견과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예비교원 다문화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24명의 초·중등 예비교원을 대상으로 조망수용, 편견, 다문화 태도, 다문화 행동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조망수용과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행동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편견은 다문화 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조망수용과 다문화 행동의 관계에서 편견, 다문화 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편견의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문화 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조망수용이 편견과 다문화 태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다문화 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행동 증진에 있어서 조망수용이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편견과 다문화 태도의 역할을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원 다문화교육에서 조망수용을 활용한 개입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among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wo hundred and twenty-four pre-service teachers from single-Korean-ethnic background participated in the surveys assessing perspective-taking, prejudice,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behavio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found that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attitud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behavior. On the other hand, prejud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ulticultural behavior. Also,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of prejudice was not found, but the indirect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path from perspective-taking to multicultural behavior by sequentially mediating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ejudice and multicultural attitud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e-taking and multicultural behavior.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perspective-taking to promote multicultural behavior of prospective teacher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