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ultimedia Using Metaphor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영(Taeyoung Kim) 하민경(Minkyung H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231~2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인의 신념이나 태도를 알아보는 데 적합하다고 알려진 은유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273명의 유아 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은유 분석 질문지를 사용해 멀티미디어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이미지를 수집하고 은유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은유 분석 질문지는 은유 표현과 은유 이유로 이루어져 있어, 유아 교사들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전반적 인식 뿐 아니라 그러한 인식을 하게 된 이유와 의미도 파악할 수 있다.
결과 연구 결과, 유아 교사들은 멀티미디어에 대해 ‘멀티미디어의 중요성’, ‘멀티미디어의 역할’, ‘멀티미디어의 특성’, ‘멀티미디어의 위험성’의 4개 범주로 인식하고 있었다. 4개 범주에 대한 하위 범주들을 살펴보면, ‘멀티미디어의 중요성’은 ‘시대적 요구’, ‘미래의 필수품’으로, ‘멀티미디어의 역할’은 ‘흥미 유발’, ‘정보 제공’, ‘교육 자료’로, ‘멀티미디어의 특성’은 ‘편리성’, ‘새로움’, ‘다양성’, ‘양면성’으로, ‘멀티미디어의 위험성’은 ‘중독’, ‘상호작용 부재’로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멀티미디어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이해와 인식을 밝힘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멀티미디어의 적절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multimedia.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metaphor analysis method known to be suitable for finding out an in-dividual's beliefs or attitudes. 273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tudied, and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media were collected using a metaphor analysis questionnaire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aphor analysis procedure.The metaphor analysis questionnaire consists of metaphor expressions and metaphor rea-sons, 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perception of multimedia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the rea-son and meaning of such percep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multimedia in four categories: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the role of multimedia’,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and ‘the dangers of multi-media’. The subcategories for the four categorie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multimedia was divided in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necessities of the future’. The ‘role of multimedia’ was divided into ‘inducing in-terest’,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were divided into ‘convenience’, ‘newness’, ‘diversity’, and ‘double-sidedness’. The ‘risk of multimedia’ was divided into ‘addiction’ and ‘absence of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appro-priate selection and use of multimedia in the educational field by revealing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medi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