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Relation to Their Mukbang(Eating Show) Watching -Utilizing the 18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위옥연(Ok Youn Wi) 이지현(Ji Hy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217~2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먹방시청 정도에 따른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제18차(2022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제공받은 이차분석연구이며, SPSS/WIN 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먹방은 여학교에 다니는 여학생, 학업성적과 경제수준, 부모의 학력이 낮은 청소년이 매일 시청했다. 둘째, 식생활은 먹방을 매일 보는 청소년보다 전혀 안보는 청소년이 아침식사(1.48배)와 과일(1.38배)을 많이 섭취했고, 단맛나는 음료(0.73배), 패스트푸드(0.66배), 야식(0.71배)을 더 적게 섭취했다. 셋째, 신체활동은 먹방을 매일 보는 청소년보다 가끔 보는 청소년이 고강도 신체활동(1.10배), 중강도 신체활동(1.21배), 10분 이상 걷기(1.39배)를 많이 하였다. 넷째, 정신건강은 먹방을 매일 보는 청소년보다 전혀 안보는 청소년이 외로움(0.59배), 스트레스(0.64배), 슬픔, 절망감(0.51배), 자살생각(0.64배), 자살계획(0.60배), 자살시도(0.50배)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먹방시청 정도에 따라 청소년의 건강행태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단계적인 먹방 관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부모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seeks to investigate the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relation to their level of engagement in mukbang(eating show) watching. The objective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Methods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tilized raw data obtained from the 18th Annual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of 2022. The analysis involved using the SPSS/WIN 20 program to conduct complex sample frequency analysis, complex sample cross-tabulation,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irst, daily viewership of mukbang was observed among female students attending girls' schools, as well as adolescents with lower academic performance, lower economic status, and parents with lower educational levels. Second, in terms of dietary habits, adolescents who did not watch mukbang at all had a higher intake of breakfast(1.48 times) and fruits(1.38 times)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every day. Furthermore, they con-sumed fewer sweetened beverages(0.73 times), fast food(0.66 times), and late-night snacks(0.71 times). Third,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adolescents who watched mukbang occasionally engaged in higher levels of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1.10 times),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1.21 times), and walks lasting 10 mi-nutes or more(1.39 times)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daily. Fourth, in terms of mental health, adolescents who never watched mukbang exhibited lower levels of loneliness(0.59 times), stress(0.64 times), feelings of sad-ness and despair(0.51 times), suicidal ideation(0.64 times), suicide planning(0.60 times), and suicide at-tempts(0.50 times) compared to those who watched it daily.
Conclusions The effects on the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ppear to vary based on the levels of mukbang watching.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implement phased mukbang media edu-cation programs and parental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