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나혜숙(Hea Sook 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149~1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전이와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여성 가족 패널 8차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60세 이하인 기혼의 중년 직장여성 3,756명을 대상으로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가정-직장 촉진을 외생변인으로, 일상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을 내생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통계기법(예: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집중 타당성, 그리고 판별 타당성 등)을 활용하여 PLS-SEM 기법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감소하였고,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 가정→직장 갈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둘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직장→가정 촉진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증가하였으나, 직장→가정 갈등, 가정→직장 촉진은 그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셋째, 중년 기혼 직장여성이 인식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감소하였다. 넷째,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모든 직장-가정 간 전이의 하위요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통해 중년 기혼직장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개선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직장→가정 촉진인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가정→직장의 긍정적 전이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직장→가정 촉진을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transition,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Methods For this purpose, using the 8th data from the Women and Family Panel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Institute, 3,756 married middle-ag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were surveyed on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promotion, family-work conflict, and family. -Workplace facilitation was se-lect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ily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selected as endogenous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structural equation testing using PLS-SEM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e.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etc.).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promotion increased, daily life stress decreas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place promotion, and family→workplace conflict, the higher daily life stres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facilita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subjective happiness. Third, the higher the daily life stres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the lower the subjective happines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daily life stress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sub-factors of work-family transi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daily life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working women is work → family promotion. To improve their subjective happiness, it could be achieved through work-to-family transition strategy which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daily life stress; of which the most important goal strategy in promoting work→family needs to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