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지(Yoon-Ji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53~6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선택유형을 파악하고, 그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하는 일 대학의 3~4학년 재학생 195명이고, 자료 수집 기간은 2023년 4월 10일부터 5월 12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Cronbach's α, 빈도, 백분율, χ2-test,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을 위해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진로선택유형은 ‘안정적 유형’ 34.9%, ‘관습적 유형’ 30.3%, ‘불안정적 유형’ 25.1%, ‘중다선택 유형’ 9.7% 순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31점이었으며, 임상수행능력은 평균 3.57점이었다. 진로선택유형에 따라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문제해결능력은 입학동기와 간호학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상수행능력은 성별과 간호학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진로선택이 안정적이고 간호학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간호대학생들이 대학 입학 전부터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진로탐색이 진행되도록 고등학교와 대학 간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들의 요구와 능력에 맞는 교육과정 제공으로 전공만족도 증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nursing students'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patter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5 nursing students in third and fourth grades located in J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nalyse the data, Cronbach's α, t-test, ANOVA, χ2-test, Scheffé test were used with an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patterns of career choice of subjects showed ‘stable pattern'(34.9%), ‘conventional pattern'(30.3%), ‘unstable pattern'(25.1%) and ‘multiple trial pattern'(9.7%). Mean score of subjects was 3.31 problem solving abil-ity score and 3.57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cor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terns of career choic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lic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ose with stable career choices and high major satisfaction also showed better problem-solving and clinical skill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high school-uni-versity link for early career exploration based on students' interests and providing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