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nnected educ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by element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창(Jaecha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3호, 17~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초 연계 교육 방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중요성 인식과 실제 수행정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초등교사들이 실천할 수 있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초 연계 방안 중 초등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방안과 실제 수행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로서 설문조사 응답 결과에 대한 현장교육 맥락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교사 8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 번째 연구문제 분석 결과, 선행연구 중 초등교사가 실천할 수 있는 사항은 공통적으로 17개의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 결과, 교사들은 17개 방안 중 3가지 방안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수행 면에서도 모든 방안에 대해 보통 이하의 수행만 하고 있었다. IPA 분석방법을 통해 현재와 동일한 수행을 할 필요가 있는 연계방안 5개, 중요도가 평균 이상이지만 수행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에 수행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는 연계방안 3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낮은 연계방안 7개, 중요도는 낮으나 과잉된 수행을 하고 있는 연계방안 2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 결과, 교사들의 인식과 수행에는 업무 과다, 학부모와의 관계, 돌봄교실의 애로사항 등 여러 가지 현장 맥락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청에 다양한 지원과 제도를 요구하고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초 연계 교육 방안을 현장 교사의 의견을 통해 수정·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저학년 배정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여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들에 대한 전문연수를 제공하여 현장의 준비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 셋째, 대학 및 대학원 수업에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유·초 연계 교육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 넷째, 교육청에서 유·초 연계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arly childhood-elementary connected education plan a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
Methods To solv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derive connected educational plans. To solv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91 teachers. As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teacher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17 common plans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ll but three of the 17 plans as low, and in terms of performance, they performed only below average for all the plans. Through the IPA analysis method, five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ent were derived. In addition, three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need to be activated be-cause their importance is above average but are not performed well were derived. Seven connected education plans with bo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erived. We derived two connected education plans that are of low importance but are being over-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contexts, such as excessive work,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difficulties in childcare class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nnected education plan through the opinions of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preparation by in-ducing fixed teacher assignments by strengthening Incentives and providing specialized training for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field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classes. Fourth, it was suggested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strengthen various supports related to connec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