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lassroom engagement, and achievement: Differences in behavioral, emotional, cognitive, and agentic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오동혁 이선아 이우걸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0권 제1호, 5~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업 상황에서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수업참여, 학업성취가 어떠한
양상의 종단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의 종단적 상호작용에
있어 행동적, 인지적, 정서적, 주도적 측면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밝히고자 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과학수업 시간에 6주에 걸쳐 총 5회 수집된 142명의 학생 자료를
분석했다.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수립하여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 퀴즈점수의 상호관련성을
수업참여의 4가지 측면별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수업참여 측면에 따라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수업참여의 종단적 상호작용은 상이한 양상을 보였
다. 행동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는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종단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도적 참여는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종단적 영향만 미쳤고, 이는 학업성취로
도 이어졌다. 정서적 참여의 경우, 기본심리욕구 충족으로부터 종단적 영향만을 받았고 이는 학업성취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결론 행동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가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종단적 상호작용을 보이는 부분은 이전 연구
결과들과 일관된 부분이었다. 이는 학생이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
여 이를 통해 행동적, 인지적 참여를 이끌어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동시에 학생이 조금 더 행동적,
인지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기본심리욕구 충족 경험을 끌어올릴 수 있어야 한다는 점도 말해준
다. 주도적 참여와 관련된 연구 결과는 학생 주도성의 관점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가진다. 즉, 학생이 주도적
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수업이 곧 학생의 동기와 성취에 도움을 주는 수업이라는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lassroom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we
sough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reciprocal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depending on behavioral, emotional, cognitive, and agentic
aspects of classroom engagement.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42 sixth graders, which was collected five times in six weeks
during Science classes.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panel model, we separately test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lassroom engagement, and quiz
scores for the four engagement aspects.
Results: The longitudinal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lassroom
engagement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four distinct aspects of classroom engagement.
In terms of the behavioral and cognitive aspec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had reciprocal causal effects, which subsequently influenced achievement. Agentic
engagement only had a longitudinal causal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is
effect led to achievement. In terms of the emotional aspect,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ly
had a longitudinal causal effect on classroom engagement, and this effect did not lead to achievement.
Conclusion: The longitudinal reciprocal interactions of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There is a need to design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satisfaction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thereby
eliciting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At the same time,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engage more behaviorally and cognitively to enhance their experience of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Findings related to agentic engagement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student agency.
That is, classes that provide agentic and proactive roles for students can be classes that support studen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