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Chinese OFDI on Indonesia’s Econom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 of Infrastructure Investment
- 발행기관
- 한중경제문화학회
- 저자명
- 郭化冰(Hua Bing Guo) 黄锦(Jin Huang)
- 간행물 정보
- 『한중경제문화연구』제24권, 301~3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2013년 일대일로 이니셔티브가 제안된 이래 중국은 일대일로 연선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왔으며, 많은 국가와 지역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참여하였다.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는 국가 간 연결성을 실현하기 위해 일대일로 연선 국가의 인프라 건설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의 ‘글로벌 해양피벗’ 계획과 일치하고 인프라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인도네시아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매개효과 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의 대인도네시아 직접투자가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과 구체적인 영향 경로를 실증 분석한 결과, 중국의 대인도네시아 직접투자는 현지 인프라 건설을 촉진하고,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양국 전기, 네트워크 통신 및 교육 인프라 등 분야에서의 협력방안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China put forwar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n 2013, China has actively worked with the Initiative to revitalize relevant regional resources and encourage developing countries to participate in global social governance from a global macro strategic perspecti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itiative has promoted connectivity and exchanges among countries by promoting borde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his strategic direction is in line with Indonesia’s “global marine fulcrum” plan. Moreover,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Indonesia lags behind. These factors have provided more opportunities and development space for Th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Indonesia in the field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is getting closer and deeper. This paper, based on the relevant data collected in Indonesia from 2003 to 2018, verifies the impact of China’s direct investment on Indonesia’s economic growth by using the method of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nd explores the impact of specific approaches.The results show that China’s direct investment in Indonesia can promote loc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romote Indonesia’s economic growth. The two countries proposed future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electricity, Internet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