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for Civ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광성(Kwangsung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1호, 95~10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존감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8개 요인의 전체 신뢰도는 73.2%로 확인되었다. 둘요째, '균형' 인은 전체 자존감 하위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리더십' 요인은 전체 자존감 하위요인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이 모형의 설명력은 98.6%로 나타났다. 그의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습니다. 넷째, 균형은 다른 변수보다 자존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균형은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를 통한 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의 덕목은 자존감을 높이는 요인이며, 이러한 변수는 각 개인 및 사회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의적 특성을 지닌 시민적 덕목은 독립적이며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정 지역과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결과를 무조건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 세대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at factors affect self-esteem and understand how much they affect it. Firs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8 discovered factors was confirmed to be 73.2%. Second, the factor of 'balance'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overall, and the factor of 'leadership'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overall compared to other factors.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98.6%. and his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bala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 larger effect on self-esteem rather than other variables. More importantly, it was found that balance had an overall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civic virtues are factors that increase self-esteem, and that these variables are high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and society. Second, the civic virtues with defining characteristics are independent and affect self-esteem. Lastly,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a specific region and subjec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unconditional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targeting various regions and generations will continu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meaning and role of self-esteem
Ⅲ. Research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