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ocal Color Discourse in the 1930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강성률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33호, 239~2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amine the local color discourse in the 1930s. During that time, the Chosun films changed into talkies and Korean film makers felt the need to export their films to foreign countries. Some people started to claim that they should put the Chosunness into their works for this purpose. Sentiments that it was the only way for the Chosun films to prosper was getting popular. Wayfarer by Lee Gyu-Whan was the milestone, which many thought owed its success in Japan to its Chosunness touch. But the local color discourse was faced with much criticism too. First of all, there was no escape from the Occidentalism view, because Chosunese sentiments were mad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making it hard to take a objective view to realities of Korean society. Therefore it leaded to another claim to connect Chosunness into universal values instead of taking the exotic approach. The local color discourse emerging in the 1930s was much influential on the course of Korean film after Liberation. Exports of Korean films always accompanied the local color discourse, so did discussions about Korean films identity. For it was closely linked to realism of Korean films.

목차

1. 한국적인 것과 흥행의 관계
2. 로칼 칼라 담론의 형성
3. 로칼 칼라의 전형, 〈나그네〉
4. 모방에 대한 반성과 타자의 시선 사이에서
5. 수출의 관건은 보편적 예술성
6. 로칼 칼라가 남긴 것-한국영화의 정체성
7.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률. (2007).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영화연구, (), 239-262

MLA

강성률. "1930년대 로칼 칼라 담론 연구." 영화연구, (2007): 239-26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