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agnosis of the Effectiveness of Learner-centered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미(Soomi Kim) 이수정(Soojeo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473~4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을 통해 ‘학생의 교과 선택권’ 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고교학점제의 정책적 효과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부에서 지정한 연구·선도학교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와 교육부와 관련 연구기관의 보고서, 계획서 및 연구 자료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중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지속적으로 3년 이상 운영한 학교의 교육과정 이수단위 편성표를 중심으로 연도별 학교지정과목수와 선택과목수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분석을 통해 ‘학생의 과목선택권’이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교가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과목선택권’을 확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다양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는 고교학점제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해, 무엇보다도 교사의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policy effec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verifying whether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s practically guaranteed through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nalysi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research and leading schools.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cases of research and leading school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well as reports, plans, and research data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were analyzed. Among them, the number of school-designated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by year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completion unit organ-ization table of schools that have continuously operated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leading schools for more than 3 years.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research and leading school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choice of subjects' in the organization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has been expanded. This means that the school operates a variety of curricula.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expanded students' choice of subjects, and through this, various educational courses are operated.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guarantees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ies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고교학점제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