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formance Assessment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Using the CIPP Mod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명현(Myunghyun Yoo) 임세민(Se Min Yim) 송지훈(Ji Hoon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257~2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교육복지 정책 추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복지사업 성과평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성과분석 틀을 개발하고,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를 종합한 성과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해 상황(Context), 투입(Input), 과정(Process), 산출(Product)의 영역에서 교육복지사업의 운영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였다. 지자체 지원, 학교, 학생, 홍보 및 네트워크, 물적자원, 인적자원, 사업계획 및 운영, 학교 내/외부 협력수행 여건, 프로그램, 사례관리, 네트워크, 학생변화, 만족도를 각 평가영역에서 다루었다.
결론 교육복지사업의 발전방안을 위한 논의를 교육복지사업의 성과와 개선방향의 측면으로 나누어 도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을 통해 시·도교육청의 교육복지 사업계획, 교육복지안전망 추진계획 등 교육복지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and suggest strategies for enhancing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Methods The study employed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op-erational procedures and outcomes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Results The evaluation covered various aspects, including local government support, schools, student involve-ment, public relations, networks,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progra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tra- and inter-school collaboration, program content, case management, network effectiveness, student progress, and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tudy's findings offer a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performance and potential areas for en-hancement in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 essential insights for developing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