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Personas and Journey Maps for School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성혜(Seonghye Yoon) 공정민(Jeong-min K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101~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교육 현장 내 에듀테크 구매에 관여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의 합리적인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공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자 학교 차원에서 에듀테크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초중고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식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페르소나 및 여정 지도 개발은 Blackwell, Miniard, & Engel(2006)의 소비자 행동 모델 단계(필요성 인식, 정보 탐색, 사전 대안평가, 구매, 소비, 소비 후 평가, 철수전략)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특징에 기반하였다. 또한, 개발된 페르소나 및 여정 지도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Blackwell, Miniard, & Engel(2006)의 소비자 행동 모델에 기반하여 탐색한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과정의 특징을 기반으로 총 4개의 교사 페르소나 유형을 도출하고, 각 페르소나별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여정 지도를 개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 현장에서의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과정은 필요성 인식에 따라 상향식 동기와 하향식 동기로 나뉘었으며, 같은 학교급 안에서도 학교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인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일반화된 의사결정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증거 기반 에듀테크 의사결정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에듀테크 활용 문화의 조성과 관련 정책 및 실천적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upport evidence-based and rational decision-making in EdTech purchases within the context of public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will be achieved by analyzing the deci-sion-mak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volved in EdTech procurement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Methods To understand the educators' experiences related to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volved in their schools’ EdTech procurement processes. For the interview, participant se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purposeful samp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is study developed personas and journey maps, aligning them with the stages of the consumer behavior model proposed by Blackwell, Miniard, and Engel(2006). Additionally, a validity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to validate the developed personas and journey maps.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the consumer behavior framework, as Blackwell, Miniard, and Engel(2006) proposed.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stinct educator persona types and created persona-based EdTech purchase decision journey map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school settings can be categorized into bottom-top and top-bottom motiv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need, and it varies even among schools within the same grade level. This result indicates the need for a systematic data-based, or generalized decision-making framework within school environ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culture of open EdTech utilization and the necessity of related policies and practical support to promote evidence-based EdTech decision-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