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공, 스크린 재현의 정치학

이용수 0

영문명
Female Workers,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조진희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35호, 77~1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emale Worker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a great number of young women have moved to large cities and became factory workers. With all physical hardship and low wages, they have chosen to be factory workers to support their families and to escape to cities. Sometimes they protested against abusive treatment by male supervisor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With all their presenc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female workers in commercial cinema. Korean film makers have hesitated to feature the life of female factory workers. Nevertheless, some film makers have attempted to bring female workers to life in the name of 'realism' and 'history'. This made possible the production of Guro Aryrang(1989) and A Single Spark(1995).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the way these two exceptional films represent female workers. Even though film makers claim to support workers and labor movement, the way they depict female workers is somewhat problematic. They eventually downgrade women workers' intelligence and will, by relying on a certain kind of narrative pattern. By exploring the narrative pattern, this essay will highlight the political limitation of these so called labor films.

목차

1. 들어가며
2. 〈구로 아리랑〉, 여공과 지식인
3.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여공의 스승
4. 과잉된 역사, 실종된 역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희. (2008).여공, 스크린 재현의 정치학. 영화연구, (), 77-104

MLA

조진희. "여공, 스크린 재현의 정치학." 영화연구, (2008): 77-10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