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o Hyang’s Poetics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엄성원(Sung Won U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6호, 513~5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조향의 시론을 대상으로 그가 추구한 독자적인 초현실주의의 사상을 통시적으로 개관하며 그 의미를 추적하였다.그는 서구의 초현실주의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았으며 고유의 방식으로 변용하여 우리만의 초현실주의를 개척하기 위해노력하였다.
조향은 단일한 기의를 인정하지 않고 그 해체에 힘썼으며,기존의 관념을 파괴하여인간을 이성과 합리성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방식으로 순수한 자유를 지향하였다.또한 그는 다다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초현실주의 미학을 선택하였고,이를 통해 이성에기반한 합리주의적 언어가 아닌 무의식의 언어를 탐색하였다.
그가 정신분석에 주목한 것도 그것이 무의식의 탐구를 중심으로 근대 이성을 비판하기 때문이다.그는 이미지 자체를 중시하기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의미의 세계를 포기하지 않았고,현대산업사회의 폐해를 초현실주의의 원시주의로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 diachronic overview of Cho Hyang’s poetics and traces the meaning of the unique surrealist ideas he pursued. He did not unilaterally accept Western surrealism, but tried to transform it in his own way and pioneer our own surrealism.
Cho Hyang did not recognize a single signified and worked hard to dismantle it, and aimed for pure freedom by destroying existing ideas and liberating humans from reason and rationality. In addition, he chose Surrealist aesthetics to overcome Dada, and through this he explored the language of the unconscious rather than a rationalistic language based on reason.
The reason he paid attention to psychoanalysis is because it criticizes modern reason, focus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unconscious. Although he placed importance on the image itself,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give up the world of meaning and believed that the harmful effects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could be overcome through the primitivism of surrealism.
목차
1. 서론
2. 초현실주의와 시의 현대성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