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 implicit theor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One Semester One Book’ movemen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방상호(Sangho Pang) 백혜선(Hyesun Pai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6호, 121~15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하여 현장 교사의 암묵적 이론이 실천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 주창자의 문헌을 선택적으로 검토하여 교사의 암묵적 이론과 관련된 여러 관점을 살펴보았다.그 결과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하여 교사의 암묵적 이론은 자연주의 교수이론,총체적 접근법,실제주의 학습 이론,평등주의라는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드러내었다.
이러한 암묵적 이론과 관련된 여러 관점이 읽기 수업 실천에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중등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하였다.국어교사들은 ‘한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이해,태도,실행 수준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답하였다.‘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이해,태도,실행 수준은 구성주의 지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또한 교사들의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이해,태도,실행은 읽기 교육 내용 중 ‘읽기 생활화’,‘다양한 글 읽기’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읽기교육 방법 중 ‘독서기록장’,‘도서관 및 학급 문고 이용’,‘추천 도서 목록 제공’ 등과정적 상관을 보였다.하지만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이해,태도,실행 수준은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는 ‘적절한 읽기 전략 사용’이나 ‘긍정적인 읽기 태도 함양’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이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교사의 암묵적 이론이 읽기 수업 실천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in-service teachers’ implicit theories inform their practice in relation to ‘One Semester One Book’. To this end, a selec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f 'One Semester One Book’ proponent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teachers’ implicit theor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implicit theories in relation to ‘One Semester One Book’ are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naturalistic teaching theory, whole language approach, authentic theory, and egalitarian perspective.
How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the implicit theories are connected to reading instructional practices was explored through a survey study of secondary language arts teachers. Their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actices of ‘One Semester One Book’ were positive. The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king reading habits” and “reading a variety of texts” among reading instructional content. However, teacher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actices of ‘One Semester One Book’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using appropriate reading strategies” or “fostering positive reading attitudes,” which are importa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uggests that teachers’ implicit theories about ‘One Semester One Book’ are considerably influencing their reading instructional practices.
목차
1. 서론
2. ‘한 학기 한 권 읽기’ 관련 암묵적 교사 이론
3. ‘한 학기 한 권 읽기’ 실행 양상
4.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