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iederholte filmische Motive zur Erinnerung der Vergangenheit und ihre Bedeutung als kultursemiotischer Code im koreanischen Film
이용수 2
- 영문명
- 문화 기호론적 관점에서 본 기억 재현 속 반복되는 영화 모티브와 의미에대해서: 사진과 대중가요 중심으로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성경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1호, 205~2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국문 초록
특정 영화장르뿐만 아니라 영화 속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모티브또한 사회를 비추는 거울역할을 하는 영화를 소비하는 대중의 욕망과 긴밀한 관계 속에 놓여있다. 특히 과거에 해당하는 사실 또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 영화 속에서 반복되는 모티브들은 개인 또는 대중의 기억과도밀접히 닿아 있다. 영화 속에서 “언어”를 통해 표현되고 전달되는 내용보다는 더욱 은밀하게, 그리고 상징적으로 “전달자”의 역할을 하는 이들 영화모티브들은 문화 의미론적인 코드로서 그 영화가 소비되는 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 속 개인 또는 집단의기억을 재현하는 분단문제를 다룬 한국영화들을 대상으로 삼고 이들 영화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사진과 대중가요들을 현상학적인 접근법과상호미디어 연구방법에 근거해 문화 의미론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았다. 각자 다른 영화 속에서 사용된 이들 모티브들의 문화적 및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영화들이 영화 속에서 전달하고자하는 “기억과 과거”재현방식에 주목했다. 전통적으로 “제 3의 증인”또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매개체”인 사진은한국영화 속에서 “되돌아갈 수 없는 행복한 과거 <겨울나비>”, “부인할수 없는 사실 <공동경비구역 JSA, 수취인불명 등>”또는“역사의 증언<포화속으로 등 대부분의 전쟁영화>” 등 다양한 의미로 등장해 왔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대중가요 또한 중요한 “영화 속 서사자”로서 기억을재현하고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 내거나 영화의 중요메시지를 전달하는데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영화음악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인물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 역할은 말할 것도 없이 한국영화 속 대중가요와“과거에 대한 회상과 기억”은 멜로디뿐만 아니라 가사를 통해서 더욱 강력하게 발연된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 속 배경음악으로 등장한 김광석의 노래는 영화 전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장 함축적으로표현하고 있고, 영화 <고지전>에서는 “남과 북의 군사들이 처한 동일한입장”을 함께 부르는 노래를 통해 잘 전달하고 있다. 또한 영화 <디어 평양>과 <요덕이야기> 속 주인공이 부르는 노래들은 주인공의 자아정체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해내는 강력한 영화언어로 등장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Einleitung
2. Wiederholte filmische Motive als kultursemiotischer Code und Intermedialität
3. Koreanische Lieder und ihre kulturelle kodierte Bedeutung
4. Zum Schlus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