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조선에서 연쇄극의 유입과 정착에 관한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ow and rootage of Kino dram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한상언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4호, 203~22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일본에서 유행하던 연쇄극이 조선에 어떻게 유입되었고 이것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정착되었는지를 조선에 거주하고 있는 일본인들을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이 논문에서 확인한 것은 1. 연쇄극의 유입시기의 확인, 2. 조선인 연쇄극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일본인 활동사진관에서 상연된활동사진 위주의 연쇄극의 존재, 3. 일본인 활동사진관에서 제작한 연쇄극과 극영화, 4. 조선인 연쇄극의 영향을 준 일본연쇄극에 관한 사실들이다. 이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조선인 연쇄극의 기원을 밝히는 것으로 ‘영향’이라는 실체가 모호한 단어로 막연하게 이해되어온 조선인 연쇄극에 영향을 준일본연쇄극의 실체와 그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밝힌다는 면에서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how to come and settle down Kino drama that was popular in Japan to Korea, focusing on Japanese people who lived in Korea. Those are confirmed in this paper. 1. The time of an influx of Kino drama, 2. The existence of Kino drama based on motion picture prior to Korean Kino drama, 3. Kino dramas and films were made in a Japanese motion picture studio, 4. Facts about Japanese Kino drama that affected the Korean kino drama. This paper can indicate the origin of Korean Kino drama and the substance of Japanese Kino drama that affected the Korean Kino drama. And it also can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Kino drama and Japanese Kino drama.

목차

1. 서론
2. 연쇄극의 유입과 조선에서의 상연
3. 연쇄극의 두 가지 형태
4. 연쇄극의 토착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언. (2015).식민지 조선에서 연쇄극의 유입과 정착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 203-227

MLA

한상언. "식민지 조선에서 연쇄극의 유입과 정착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5): 203-22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