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Film’ Curriculum as a Specialized Art Subject at Highschool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4호, 33~5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국문 초록
급속히 변화해가는 디지털 환경과 이에 따른 영화 산업 환경의 변화는 영화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발 빠른 적응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대학 영화학과를 위시하여 영화 관련 교육기관이 급속히 늘어나고 초중고에서도영화교육이 시작되고 있으며 전문교과로서의 ‘영화’ 과목들도 교육부에 의해 교육과정으로 지정, 예술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운영되어 오고 있다. 현재 예술계열전문교과 교과과정은 연극영화, 무용, 문예창작, 사진 등 총 4개 교과가 개설되어있고 영화교과는 <영화의 이해>, <영화기술>, <영화창작과 표현>, <영화제작실습>, <영화감상과 비평> 등 다섯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009년에 개정된 현재의 교육과정은 전체적으로 내용이 너무 방대하고 실제 교육에 적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많이 지적되어왔다. 2015년에 개정되는 교육과정은 ‘2015년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에 기반하고 각 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진행하였으며 많이 가르치는 교육에서 즐길수 있는 교육으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기조아래에서 행복하고 즐겁게 체험하는 가운데 지식을 얻도록 하는 가장 적절한 교육의하나로서 예술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내부로 들어가서 보면 예술교육 역시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성적 평가 중심’ 이라는 틀 속에서 예술교육 역시 사전적 개념의 주입과 암기식 교육이 중심을 이루고있으며, 실습과 이론의 병행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도 교육과정은 단순히 개념의나열 중심으로 이루어져 이론 분야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실질적인 측면에서의 실습 교육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2015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좀 더 실질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이 마련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영화’ 교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향은 간소화, 적정화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시나리오’에 대한 중요성의 증대와 실질적인 교육과정 구축을 위해 <영화 창작과 표현>과목을 <시나리오>로 변경하였으며, 각 과목별로 불필요하다고판단되는 내용은 과감히 삭제하였다. 우선 고등학교 단계에서 기초 및 심화가 이루어질 분야와 고등학교 단계에서 기초 교육이 이루어지고 대학에서 심화단계로서 더 보충되어야 할 분야에 대한 연구부터 진행하였는데 기능적 교육이 이루어 지는 실습과목에서는 기초적인 이해과정과 실습과정을 같이 포함시켜 좀 더 심화단계까지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각 교과가 어떤 체계와 내용을 지니고 있는가에 국한된 문제를 벗어나 국가 전체의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꾸고 그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현재의 예술 전문교과 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비전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방향으로 규정했던 ‘체험식, 상호 소통식, 통합형’으로서의 교육과정이 교육 내용 하나하나와 교육 현장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지난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Drastic changes of digital environment and industrial environment of cinema require a change of rapid adaptation and alternation. Since late 1990s, led by film majors in university, so many Film educational facilities founded and a lo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so start to teaching film. Also, art-school oriented ‘film’ study is promot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urrently the four kinds of art professorial curriculum are founded. ‘Film and Theatre’, ‘Dancing’, ‘Literature writing’, ‘Photograph’. Film curriculum is made up of 5 classes, , , , . But Revised in 2009 applied to the current hands-on training curriculum as a whole in the stories are too broad, and not satisfy too much trouble have been pinpointed.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each progress reflects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and the right direction that can enjoy education in education to teach people to paradigm. To experience these happy and fun under the foundation of knowledge to allow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 as one of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s further strengthened. However, education process goes inside, see also arts education cannot be free on this problem. ‘Assessment center’ that arts education within the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Film’ Curriculum as a Specialized Art Subject at Highschool framework also injection of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rote education is central to combat this scourge, and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of parallel made up of concepts, education process is simply laid out for center field theory in practical terms, it was taken showing a bias toward the practice in education bringing a problem that prevents ate it up. Curriculum revisions to these problems when it comes to 2015 to complement and more practical and forward-looking education process is designed to be the focus should be removed. The Improvement of ‘Film’ Curriculum, simplification of the association study focusing on the terms of both venues. ‘Scenario’ the importance of intensified and real and switched to subjects for the deployment of a compulsory curriculum for every subject, delete unwanted content is judged to be risked. Each class was simply a discussion on the training courses have certain systems and the content be limited to whether a way out of the problem for pedagogy for the entire country and change the paradigm and direction can be said that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may be determined. The study through the current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 of the arts have a marginal and can be examined in a joint vision. Requires constant efforts are thought to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s a state of which ‘Experiencing Type, Interactive style, Integrated’ education process is cemented in every single education in order to put roots anywhere in the field.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