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ents of Transition-age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향 송명숙 정정은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3호, 133~16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전환기 발달장애 학생 부모 10명
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이후 3년간의 자녀에 대한 자기결정 지도 경험 및 지원 요구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
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법
을 통해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3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프로그램 참여 이후 자기결정
지도 및 행동 변화와 관련하여 부모들은 프로그램 이후에도 자녀에게 자기결정 행동을 지도하였으며, 자기결
정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의 변화는 자녀의 자기결정 행동 변화와 유지로 이어졌다. 둘째, 부모들은
자녀의 고등학교 진학이라는 전환기를 앞두고 새로운 환경의 요구에 직면하면서 진학 및 미래에 대한 고민,
자녀의 역량 부족, 성인기 전환 준비의 어려움 등을 토로하였다. 셋째, 성인기 전환 준비를 위한 지원 요구로
서 기존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의 내실화와 성인기 전환 준비를 위한 교육 및 정책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의 성과 재고 및 새로운 환경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지원방안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1) 자녀의 자기결정 행동 변화와 유지를 위한
지원, 2) 생애주기에 따른 새로운 환경으로의 전환 지원을 위한 자기결정 증진.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10 parents
of transition-age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ree years after participation in the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using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study,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arents have taught their children self-determined behaviors and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and parenting regarding self-determination led to changes and
maintenance regarding self-determined behaviors in their children; (b) par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going to school and the future, their children’s lack of capabilities, an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s parents faced the demands of the new environment of
high school; and (c) support needs for prepa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cluded the
improvement of existing program content and operation, as well as education and policies for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to adulthood.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reconsider the outcomes of the program and to provide further support, such as (a) the support for
changes and maintenance of self-determined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 the promotion of self-determination to support a transition to new environments across the
life spa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