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이용수 0

영문명
The Storytelling of the Sinking of the Wilhelm Gustloff: The History of ‘the Other’ As Portrayed in the Novel Crabwalk and the Movie Die Gustloff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오은경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6호, 125~15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책 속에나 살아 있을 인물들이 언젠가부터 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역사소설, 텔레비전의 사극, 역사를 소재로 한 화가 중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실제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새로운 담론의 장이 생성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실제 사건과 화(또는 소설)의 긴장관계를 다 루기에 앞서 오랫동안 세상의 기억에서 사라져 있던 사건에 한 이야기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1945년 2차 전이 종전을 향하는 시점에 침몰한 구스틀 로프호(Die Gustloff)는 50년 동안이나 역사의 바다 밑에 잠겨 있다가 2002년 공 론장의 역으로 떠올랐다. 그 계기가 된 것이 귄터 그라스(Günter Grass)의 소설 『게걸음으로』고, 이후 발표된 화 <구스틀로프호>(Joseph Vilsmaier 2008)와 TV-다큐멘터리 <구스틀로프호의 침몰> (Guido Knopp 2008)를 통해 사건은 중 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졌다. 소설과 화는 하나의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각각 서로 다른 관점을 부각시켜 사건에 한 이야기하고 있다. 화가 사건의 기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소설 은 사건이 오랫동안 독일 역사의 금기가 된 이유를 추적한다. 본 논문의 문제제 기는 구스틀로프호의 침몰로 목숨을 잃은 9,000여명의 희생자들이 2차 세계전 의 패전국이자 유태인학살에 한 책임을 져야 했던 독일의 시민이라는 이유로 가해자로 분류되었다는 모순에서 출발한다. 더구나 독일역사는 이들에 한 침묵 을 선택했고, 그 결과 희생자들은 애도의 상이 되지 못한 채 반 세기가 넘는 시 간 동안 그 존재 자체가 부정된 것이다. 본 논문은 소설과 화가 구스틀로프호의 희생자들을 역사의 공간으로 불러오 는 과정을 분석하다.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처럼 타자화된 사건이 독일역사에서 제 자리를 찾게 된 것은 역사책이 아닌 소설과 화를 통해서다. 사건을 역사 로 만드는 과정에서(또는 과정으로서) 화와 소설, 즉 이야기는 후세 사람들에게 역사인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1945년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은 2014년 한국에서 발생한 세월호의 비극에 투된다. 두 사건의 관찰에서 우리는 개인의 이야기가 역사라는 거담론의 일부로만 다루어지는 한 비극은 멈추지 않는다는 교훈을 얻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Characters that seem to be only living in history have been coming alive again recently. The reason behind the growing popularity of historical novels, historical TV soap operas, and history-themed movies is that they lead to an interesting discussion of comparing actual people to their characters portrayed in novels and movies. However, before examin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actual historical incidents to their portrayal in movies (or novels), this article begins with a discussion of story that has been forgotten from the world or a long period of time. The Wilhelm Gustloff - a German military ship that sunk in 1945 when the Second World War was nearing an end - has been submerged under the cold waters of history for more than fifty years until it suddenly emerged in the public sphere in 2002. Günter Grass’ novel, Crabwalk, incited the interest in the long-sunken ship, and the movie Die Gustloff and the TV documentary Der Untergang der Gustloff(Guido Knopp 2008) illustrated the tragic incident in more detail. The novel and the movie are based on the same incident, but tell a different story with each focusing on different aspects of the incident. Whereas the movie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incident, the novel tracks the reason why the incident had been a tabu in German history for such a long time. This article starts off by brining up the contradiction that the nine thousand victims who sunk in cold waters with the Wilhelm Gustloff were categorized as perpetrators solely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citizens of Germany, the defeated perpetrator that was forced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the atrocious Jewish Holocaust in World War II. Moreover, Germany chose to acquiesce about these victims, completely neglecting their very existence for more than a half century. The present paper analyzed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novel and the movie each summons the Gustloff vicitms back to the spotlight of history. The novel and movie - and not the history itself - gave back the incident of Gustloff, a tragic incident that was completely “otherized” by the world, its place in history. Through their storytelling, these two sources again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n accurate historical awareness to the later generation. The tragedy of the 1945 sinking of the MV Wilhelm Gustloff is similarly projected in Korea, in the 2014 tragic accident of the Sewol Ferry. These two tragic incidents give the lesson that tragedy always be repeated if an individual’s story is only conf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larger history.

목차

1. 서론
2. ‘역사의 타자’ 또는 ‘타자의 역사’: 독일역사와 구스틀로프호 침몰의 역사
3. 사건과 이야기 사이의 틈새: ‘게걸음으로’ 쓰는 역사의 의미
4.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이 만들어낸 새로운 비극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경. (2015).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영화연구, (), 125-153

MLA

오은경.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영화연구, (2015): 125-15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