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Landscape Image in 'Gyeongju' Zhang Lu’s: Dwelling, Aura, Visual Situatio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김무규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6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에 나타나는 관조적 풍경 상이 지니는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문제이다. 국외자 때문에 발생하는 문화충돌과 갈등 은 우리 사회의 현안적인 문제이며 그만큼 시급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률화의 미학은 그 주제에 거리를 두어 한가하게 하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이렇게 모순적인 관계, 즉 사회문화적 주제와 관조적 미학의 관련성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인물들 사이의 갈등에 치열하게 다루기보다 그것에 시 선을 피하며 오히려 배경을 멀리 관찰하여 관조적 풍경을 표현하는 미학의 의미 는 무엇인가? 장률의 화들이 디아스포라라는 용어로 요약될 수 있는 다문화, 이주민, 소외계층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여러 학자들은 장 률화에 나타난 국외자를 환되어야 할 타자, 집단의식을 균열시키는 로컬, 정 체성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등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함의 가 명확하다면 화는 그것을 돋보이도록 수사적으로 드러내야 할 것인데, 장률 의 화는 오히려 건조하게 나타내고 있다. 그 건조함은 주로 풍경의 롱 쇼트로 표현된다. 힉슨은 화의 풍경이 관객의 시각적 쾌감을 충족시키는 기능을 행한다고 하 다. 도앤은 화를 보는 행위 자체가 이미 커다란 화면으로 실제와 같은 크기 의 상을 보려는 욕망과 결부되어있다고 하다. 주류화의 풍경은 이러한 설 명으로 이해될 법하다. 그러나 <경주>의 풍경은 스펙터클로 축소할 수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세 가지 정도의 관점으로 설명하다. 그것을 핵심어로 정리하면, 첫째 거주, 둘째 아우라, 셋째 시각적 상황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 론에서 <경주>에 나타난 풍경 상을 앞에서 논의된 이론적 개념에 비추어 해석 해보았다. 이렇게 풍경 상의 이론적 논의들과 이를 관점으로 하여 <경주>를 해 석해 봄으로써 <경주>에서 문화적 주제가 관조적 상으로 형상화되는 역설적 상황에 한 설명을 시도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problem of aesthetics in Zhang Lu’s recent film . Among other aesthetic characteristic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meanings of the landscape images filmed by long shot, long take and static shot. These images foster a contemplative atmosphere of the film, although thematizes the current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such as diaspora and cultural conflict. This paper focuses mainly on the concepts of spectacle, dwelling, aura and pure visual situation. The concept of spectacle, for example, by Higsons suggests an possible explanation about the meaning of landscape image in film, but a closer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images in demonstrates that these images are not related to the visual pleasure of the audience the spectacle usually conveys. Rather, we can account for the contemplative aesthetic in this film especially in terms of the concepts of dwelling, aura and pure visual situation which can be also understood as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meaning of the landscape image. The implications of these three perspectives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in common in that the landscape image symbolizes the diasporic position of the protagonist and his will to assimilate into his landscape.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경주>의 풍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무규. (2015).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영화연구, (), 5-32

MLA

김무규.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영화연구, (2015): 5-3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