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평등 영화 정책을 위한 시론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Global Initiatives for Gender Equality in Film Industry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조혜영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4호, 269~30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영화산업에서 성평등 정책 도입이 시급함을 인식시키고 정책설립 방식과 철학적 근거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스웨덴, 영국, 호주 등 영미권과 유럽의 성평등 영화정책을 검토한다. 이들 국가들은 일차적으로 감독을 포함한 영화산업의 주요 인력 및 영화 캐릭터와 관련해 성인지적 관점에서 자료를 축적하고, 분석하며, 연구한 보고서를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추이를 기록하고 공개함으로써 성평등 영화정책을 홍보하고 설득할 근거를 만들어 냈다. 현재 성공적인 모범 사례를 만든 스웨덴을 비롯해 영국은 모두 특정 해까지 인구구성에 맞춰 성비가 적절하게 대표될 수 있도록 공적기금에서의 감독 지원을 남녀동수인 성비 50:50으로 맞추겠다는 목표와그에 따른 구체적 정책을 발표했다. 이러한 성평등 영화 정책은 소수자에게 소량의 일정 기금을 할당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성인지적 관점을 영화기금과 문화 전반에 적용하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영화산업에서도 기존의 ‘다양성’ 개념과 정책을 재고해 영미권과 유럽 국가들이 시행하고 있는 성평등 정책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성평등 영화정책의 도입은 현재 한국영화산업이 겪고있는 성 불평등/과소대표를 해소하고 창조성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plans and initiates for gender equality in an international film industry, while revealing gender inequality in Korean film industry and finding some persuasive reasons to introduce the film policy for gender equality into Korea. Those film institutes to announce the goals toward gender equality in film industry hav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a gender-perspective as a primary work and continually and persistently monitored the progress and changes. Including Swedish Film Institute which made a successful result by achieving 50:50 parity in a support of public funding in 2014, other film institutes such as BFI and Screen Australia aim for the 50:50 target till the given year. The radical initiates take a more universal concept such as cultural citizenship or cultural democracy and call an overall change, far from a quota system which allocates some given and limited money from the public funding to a group of minority. An introduction of the plans toward gender equality in film industry in Korea will also help us with resolving the problems of under-representation and stale creativity.

목차

1. 영화산업의 성불평등은 시스템이다
2. 영화산업에 성인지적 관점이 필요한 이유
3. 해외 성평등 영화 연구 및 정책
4. 결론: 할당제에서 남녀동수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 (2017).성평등 영화 정책을 위한 시론. 영화연구, (), 269-303

MLA

조혜영. "성평등 영화 정책을 위한 시론." 영화연구, (2017): 269-30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