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inematic Combination Play: By analyzing Japanese research on the combination pla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종화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4호, 195~22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연쇄극에 대한 연구 중 ‘초기 영화(early cinema)’적 실천으로서평가하는 최근 한국 학계의 경향에 주목해, 그 기원을 일본 연쇄극의 역사에서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 흥행계의 산물인 연쇄극이 조선의 연쇄극 제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글은 2010년 전후 일본의 연쇄극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영화 매체의 관점에서 검토해야 할 영역들을 점검하고 연쇄극의 영화적 특성들에 주목했다. 이는 ‘영화적 연쇄극(cinematic combination play)’이라는 개념으로 정리된다. 먼저 본문 2장에서는 조선인 신파극단의 연쇄극이 영화와 강한 친연성이 보이는 텍스트임을 검토해, ‘영화적(cinematic)’이라는 문제의식을 추출한다. 3장에서는 일본 연쇄극의 역사를 시기별 논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에서 연쇄극은 1904년 시작된 공연 방식이지만, 1913년경에 연쇄극이라는 명칭을 획득하였고, 1916년경에는 영화가 전면으로 나서는 연쇄극이 등장하였다. 4장에서는 일본 연쇄극 텍스트의 구성 및 상연 방식에 주목해,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적 요소를 수용해 가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특히 ‘탈것’들을 이용한 격투, 추적이라는 활극성은 ‘초기 영화’ 담론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스펙터클 자체의 매력으로 연결시킬 수 있었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recent Korean academic trend which analyzes Joseon combination plays as early cinematic practice, I examine the history of Japanese combination play as the origin of Joseon combination play. It is known that the combination plays from the Japanese performing industry made a direct influence on the production of the Joseon combination play.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Japanese academic research around 2010 on the Japanese combination play and pays attention to the filmic features of the combination play. Thus,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of cinematic combination. First of all, in chapter 2, I abstract ‘cinematic features’ from the Joseon combination plays by the shinpa troupes, the most intimate text to film. In chapter 3, I look into the periodical issues on the Japanese combination play; a form of the Japanese combination play was a type of stage performance including some film footage which began in 1904. The name of combination play was entitled around 1913, and then film came to have larger part of the combination play in 1916. Finally, in chapter 4, I consider how the Japanese combination play received cinematic elements by analyzing its text structure and performing methods. The action scenes of fighting and chasing by using ‘vehicles’ are also related to the attraction of spectacles dealt with in the ‘early cinema’ discourse.
목차
1. 들어가며
2. 조선 연쇄극의 영화적 실천
3. 일본 연쇄극의 역사와 영화적 요소
4. 일본 연쇄극의 영화 장면: 시각적 과잉과 어트랙션 효과
5. 영화적 연쇄극 논의
6.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