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미국영화에 나타난 가상공간의 원형성

이용수 0

영문명
An Archetype of Cyber-space of American Movies in 1980s: focused on ≪Tron≫ and ≪The Wizard≫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유제상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74호, 67~9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상공간은 네트워크 기술과 이를 통해 창출된 가상의 공간을 중요하게 다루는 개념이다. 이 용어는 ‘(물리적인) 공간이 없는 공간’이라는, 이른바 공간성에관한 본질적인 문제를 내포하며 다양한 담론을 만들어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상공간의 원형성이 무엇인지 영화를 예로 들어 탐구하는 것이다. 현대의 기술로는 아직 완벽한 가상공간을 경험할 수 없지만, 이에 대한 영화적 재현은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다. 이는 가상공간이 최근 새롭게 탄생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의 상상 속에 존재하던 현실과는 또 다른 세계를 구현하는 방법에 다름 아님을 의미한다. 상상의 세계 속에 자신을 존재시키는 것은 인간이 오랫동안 꿈꿔온 욕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공간이 원형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1980년대는 기술발달로 인하여 가상현실과 가상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다. 오늘날 우리가 가상공간과 연결하여 떠올리는 시각이미지의 프로토타입이 바로 이 시기에 등장한 것이다. 본고는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 <트론>과 <전자오락의 마법사>를 선정하여, 질베르 뒤랑과 가스통 바슐라르가 제시한 원형이론으로 분석하였다. <트론>은 ‘낮의 체제’에 속하는 시각이미지와 공간의 원형성을 보여주는 반면, <전자오락의 마법사>에서는 ‘밤의 체제’에속하는 시각이미지와 공간의 원형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는 가상공간의 시각이미지가 변화하더라도 그 안에는 여전히 공간의 원형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When it comes to cyber-space, we deal with a virtual space made by network technologies. In other words, it is the space without physical space. The concept of cyber-space includes essential issues regarding spaciality and it causes various discourses. This study analyzes two films to find out archetype of cyber-space. Although we cannot experience perfect cyber-space implemented by modern technologies in the real world, it has been represented by films for a long time. It means that cyber-space is the way to come true the different world within the dreams of human imagination rather than it has not recently emerged. To be in the imaginary world is a significant desire of human beings and this is the premise of this article. In the 1980s, virtual reality and virtual space by technical development were interesting issues. The prototype of visual images related to cyber-space has come into at that time. The representative films are ≪Tron≫ (1982) and ≪The Wizard≫(1989) among american movies. This study explores these two films based on archetype theories of Gibert Durand and Gaston Bachelard. The summary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ly, the visual images and spaces of ≪Tron≫ have an archetype of Régime Diurne. Secondly, the visual images and spaces of ≪The Wizard≫ show an archetype of Régime Nocturne. Finally this analysis verifies that there is an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space even if the visual images of cyber-space have been chang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화 속 가상공간에 대한 논의
3. 1980년대 미국영화의 가상공간: <트론>과 <전자오락의 마법사>
4. 가상공간의 시각이미지가 보이는 원형성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제상. (2017).1980년대 미국영화에 나타난 가상공간의 원형성. 영화연구, (), 67-93

MLA

유제상. "1980년대 미국영화에 나타난 가상공간의 원형성." 영화연구, (2017): 67-9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