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isual Shock: on the origin of the modernization of Shanghai cinem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임대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0호, 65~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동아시아영화의 한 부분으로서 상하이영화를 다룬다. 영화의 ‘본토화’라는 개념에 근거하여 상하이영화가 어떻게 중국영화 현대화의 기원을 형성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각의 충격’을 전시하고 있는 중국영화박물관의 기획을 문제화하고 나아가 ‘시각의 충격’이 구성해온 보편화와 본토화 과정을 논의한다. 그 구체적인 사례로 상하이영화의 기원으로 간주할 수 있는, 현존하는 중국최고(最古)의 영화 <과일장수의 사랑>(勞工之愛情, 1922)을 분석한다. 이 영화는네 가지 측면에서 중국 현대영화의 기원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1920년대 상하이라는 신흥도시의 문화기술지(ethnography)적 성격, 코미디 영화로서 장르적 서사성의 구축, 초기 중국영화로서 진보적 영화 미학의 활용, 할리우드 영화의 영향이 그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근대 전환기 서양에서 중국으로 진입한 영화가상하이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쳐 ‘시각의 충격’과 당대적 관객성을 형성했는지 살펴본다. 초기 중국영화로서 상하이영화는 다양한 요소를 원용하는 ‘본토화’ 과정을 통해 서양 영화의 형식적, 기술적, 내용적, 서사적 요소를 받아들임과 동시에자기화를 추구했다. 이는 중국 현대영화의 기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hanghai cinema as a part of East Asian cinema.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ocalization’ of the film, it examines how the Shanghai cinema had formed the origin of modernization. To discuss this agenda, it problematize the project of the China National Film Museum, which is exhibiting the ‘visual shock’, and it also discusses the universalization and the localization process that ‘the visual shock’has composed. Furthermore, it deals with the oldest Chinese film, Labourer’s Love(勞工之愛情, 1922) which is the first film we can see now. This film shows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film in four aspects. The ethnographic tone of Shanghai in the 1920s, the construction of genre narrative as a comedy film, the use of progressive cinematography as an early Chinese film, and the influence of Hollywood cinema.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examine how the cinema that had entered China from the West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as formed the ‘visual shock’and the audiencity at that time. As an early Chinese film, Shanghai cinema had pursued subjectivation while accepting the formal and technical, narrative contents of Western films through the process of ‘localization’, which used various elements. This can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modern film.
목차
1. 동아시아 영화의 기원과 초기 중국영화
2. 상하이영화와 중국영화박물관
3. 시각의 충격: 등영희와 그림자극, 영화
4. 상하이영화 현대화의 기원: <과일장수의 사랑>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