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ree Stages of the Film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pic Irony and the Real Laughte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손성우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3호,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 <조커>를 무대, 서사, 도구와 기제, 배우라는 연극적 관점에서 보고,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내려 본 것이다. 서사를보면 무대는 세 가지로 진전되는 형식을 취한다. 첫째 무대는 아서 플랙의 가정이라는 무대이며, 이는 부재하는 아버지 토마스 웨인을 중심으로구성된 페니 플랙의 망상적 서사가 지배하는 무대이다. 아서 플랙은 이무대 서사가 망상과 허위로 구성된 것을 안 이후에 어머니 페니 플랙을살해한다. 첫 번째 무대는 뒤늦게 알게 된 충격적 사실에 의해 ‘뒤집힌무대’라 볼 수 있다. 이어 아서 플랙이 진입하게 되는 무대는 머레이 프랭클린 쇼 무대인데 여기에서 아서 플랙은 머레이 프랭클린 쇼 무대 질서를 살인행위를 통해 전복시킨다. 이는 ‘뒤집은 무대’라 할 수 있다. 그다음 세 번째 무대는 고담 시의 폭동이라는, 두 번째 무대가 확장된 무질서가 지배하는 무대다. 이런 세 무대로의 이행과 서사에는 권총과 (아서플랙-조커의) 웃음, 미디어라는 도구/기제가 개입한다. 이 작품에서 아서플랙-조커의 권총과 웃음은 상징계를 파열시키는 실재적인 것인 반면 일반적인 의미의 웃음은 상징계적인 것으로 작용한다. 상징계적인 것과 실재적인 것 그리고 아서 플랙의 생각과 현실은 서로 어긋나며, 아서 플랙과 살인광대의 표상도 일치될 수 없다. 상징계에 소속된 존재는 아이러니(irony)의 대상(이는 조롱받고 무시당하는 ‘아서 플랙’에 해당한다)이지만, 아이러니스트(ironist)는 초월적 대상이 되는데 그것이 바로 ‘조커’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iews the film in the theatrical perspective of stage, narrative, tool & mechanism, and actor, and then makes a psychoanalytical interpreta tion o f it. In i ts n a rra tive, t he s ta ge i s developing into t hree types. A s the stage called Arthur Fleck’s assumption, this first stage is dominated by Penny Fleck’s delusional narrative composed focusing on his absent father, Thomas Wayne. After realizing that the narrative of this stage is composed of delusion and falsehood, Arthur murders his mother Penny. The first stage could be viewed as the ‘overturned stage’ by the shocking truth realized belatedly. And then, Arthur enters the Murray Franklin’s show stage. Here, Arthur overturns the order of the stage through murder. The third stage is dominated by disorder, which has been expanded from the second stage of riots in Gotham City. In the fulfillment and narratives of these three stages, a pistol and (Arthur-Joker’s) laughter, and media intervene as the tool/mechanism. In this work, Arthur-Joker’s pistol and laughter are the Real that bursts the Symbolic while the laughter in general meanings works as the Symbolic. The Symbolic, the Real, and Arthur’s thinking and reality are dislocated to each other, and the symbols of Murder clown and Arthur cannot be accorded with each other. Even though a being that belongs to the Symbolic is an object(‘Arthur’ who is ridiculed and disregarded) of irony, an ironist becomes a transcendental object that is ‘Joker’.
목차
1. 첫 번째 무대: 들어가며
2. 두 번째 무대: 거울과 미디어 그리고 욕망의 무대와 충동의 무대
3. 세 번째 무대: 두 무대와 아서 플랙-조커의 두 가지 서사, 아이러니
4. 네 번째 무대: 권총과 웃음
5. 다섯 번째 무대: 세계와 무대, 무대의 잔여, 실재
6. 여섯 번째 무대: 세 무대와 미디어
7. 일곱 번째 무대: 영화 바깥 무대로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