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테 아이스너의 『신들린 스크린』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Lotte Eisner’s The Haunted Screen: F ocusing on t he D escription a bout E xpressionist F ilms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남완석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83호, 43~7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52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발간된 로테 아이스너의 『신들린 스크린』은 바이마르 시대 독일 고전 무성 영화를 전 세계에 알리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이 저서는 바이마르 시대 독일 영화가 모두 표현주의 영화라는 오해를 촉발하기도 하였다. 그녀의 저서를 세밀하게 분석한 결과 먼저 그녀는 이 시대 영화를독일의 낭만주의라는 전통의 연장 선상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알 수있었다. 이를 통해서 그녀는 당시 아직 진지한 예술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던 영화에 예술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5편 내외의 소수 영화를 순수 표현주의 영화로 간주하였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화들은 표현주의적요소와 인상주의적인 요소들이 뒤섞여 있는 것으로 보았다. 결과적으로 그녀는이 시기 독일에서는 표현주의 영화만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 영화들이 제작되었고, 그 영화들은 여러 가지 이질적인 양식적 특성들이 혼재하는 하이브리드한 영화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예술사나 예술양식에 정통하지 않은 일반 독자들의 입장에서 표현주의적 요소와 인상주의적 요소의 정확한 구분은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그녀의 저서에서 이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들도 다수 존재한다. 이 이유로 인해서 해외의 독자들은 이 시대 독일 영화가 대부분 표현주의 영화라고 오해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의 독일 표현주의 영화에 대한 열광과 활발한 연구와는 달리독일에서는 표현주의 영화의 범위도 매우 제한적으로 보고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는 낭만주의와 그 연장선상에 놓인 표현주의가 오랫동안 나치의 광기를 낳는 원인을 제공해주었다는 인식이 지배했기 때문인 것으로보인다.

영문 초록

First published in France in 1952, Lotte Eisner’s The Haunted Screen h a s contributed greatly to bringing German classic silent films from the Weimar era to the world. However, the book also triggered the misunderstanding that German films of the Weimar era were all expressionist films. After careful analysis of her books, she first described the films in this peri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German romanticism. In doing so, she wanted to give the film the status as an art form, which was not yet recognized as a serious art. And she regarded about five films as pure Expressionist films, and most of the rest as mixture of expressionist and impressionist elements. As a result, she explains that German silent films during this period were not just Expressionist films, but hybrid films produced as a variety of genre and mixed with various disparate stylistic characteristics. However, for ordina ry readers who are not familia r with art history or a rt s tyl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expressionist and impressionist elements. In addition, there are many parts of her book that are unclear in this distinction. This seems to have led readers abroad to misunderstand that most German films of this era are expressionist films. Contrary to the enthusiasm and vigorous study of German expressionist films abroad, the scope of expressionist films is also held very limited in Germany, and academic research on them has not been active either. This seems to be due to the perception that romanticism and expressionism as its extension provided the basis for the Nazi madness.

목차

1. 머리말
2. 생애: “티어가르텐 구역의 공주”에서 “침대차의 성스러운 마돈나”로
3. 『신들린 스크린』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완석. (2020).로테 아이스너의 『신들린 스크린』 연구. 영화연구, (), 43-75

MLA

남완석. "로테 아이스너의 『신들린 스크린』 연구." 영화연구, (2020): 43-7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