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inematic Space in
by Todd Haynes(2015): Melodramatic Excess and Oppressed Identit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최민정 배상준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8호, 67~10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적 공간’을 영화의 서사 진행을 위한 연출적 배경인 ‘영화 속공간’과 구분되는 일종의 영화적 형식언어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영화적 공간은 영화의 물리적 실체이자 정서적 심층을 구현하는 토대로서 개인과집단의 내면화된 공간성을 내포하는 메타적 개념이다. 이는 규범적인 장소의 특성과 캐릭터의 정서 그리고 감독의 미적 양식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이며, 이를 독해하는 관객의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글라스 서크(D. Sirk)는 이러한 영화적 공간의 다층적 구조와 그로부터 파생된 의미생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멜로드라마적 과잉’을 장르의 표현양식으로 승화시켰다. 본 연구는 서크의 연출미학, 즉 멜로드라마의 양식적 과잉의 관점에서 토드 헤인즈(T. Haynes)의 <캐롤(Carol)>(2015)의 영화적 공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캐롤>의 양식화된 영화적 공간은 그 주제의식은 물론 개인의 내면화된 서사를 구체적으로 시각화하는 영화적 장치로 기능한다. 즉, 개인의 희생을 종용하는이데올로기의 억압을 폭로하는 동시에 그 전복의 가능성까지 영화적으로 양립시키며, 사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현상을 징후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영화적 공간을서사의 직접적인 발화자로 포섭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분석을 통해 영화적 공간이 영화의 물리적 구조일 뿐 아니라, 다층적 미장센 요소들이 내리티브와 상호작용하며 자의적으로 의미를 생성하는 메커니즘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Cinematic Space’ as a formal language of cinematography that is distinguishable from ‘space in the film’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narrative structure and its progression. As a meta-concept, ‘Cinematic Space’ is a physical substance of a film as well as a foundation of emotional layers that connotes the internalized spatial sensibility of individuals and social groups. ‘Cinematic Space’ is the consequence of close interactions between the attributes of normative places, sentiments of characters, and the visual aesthetics of directors and can be referred to as a ‘changing-spatiality’ depending on the audiences’ experiences those who comprehend them. D. Sirk had made good use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inematic Space’ and the generation of meaning derived from it to sublimate ‘melodramatic excess’ into an expression style of the genre(melodram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inematic space of T. Haynes’ from a Sirkian aesthetic perspective, that is to say, the stylistic excesses of melodrama. Stylized ‘Cinematic Space’ in Carol functions as a cinematic device that materially visualizes an inner narrative of characters moreover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a film. In other words, it exposes compatibly the oppression of ideology that urges individual sacrifices and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cinematically and embraces the cinematic space as a direct narrative speaker by revealing personal and socio-cultural phenomenon symptomatically. Analysis from this perspective reveals that ‘Cinematic Space’ is not only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film but also a semantic-mechanism where the multi-layers of mise-en-scene elements interact with a narrative and generate its meaning arbitraril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멜로드라마적 과잉
3. 더글라스 서크
4. 토드 헤인즈 영화 <캐롤>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