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이용수 0

영문명
Dialectical hegemony in the Dardenne brothers’ cinematic real space, ‘Labor Field’: Focusing on Rosetta and Deux jours, une nuit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김소영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0호, 71~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동 현장을 영화적 현실 공간으로 설정하는 노동 영화(labour films) 중, 벨기에 출신의 감독 장 피에르 다르덴(Jean-Pierre Dardenne)과 뤽 다르덴(Luc Dardenne) 형제의 <로제타(Rosetta)>(1999)와 <내일을 위한 시간(Deux jours, une nuit)>(2014)을 소환한다. 노동하지 못하는 개체적 인간 존재를 관조적으로 포착한 영화가 <로제타>라면, <내일을 위한 시간>은 집단적 노동자의 충돌을 서사의 모티브로 삼고 있다. 노동의 장(場)에 관한 다르덴 형제의 작법을 독해하기 위하여 양자를 선정한 이유는, 전술한바 개별적 존재로부터 집단적 관계로확장되는 노동자의 단상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안토니오그람시(Antonio Gramsci)의 ‘헤게모니(hegemony)’ 개념을 차용하여, 공간적 측면에서의 노동 현장을 넘어서는 다층적 관계를 분석한다. 이는 두 영화의 노동 문제를 헤게모니적 시민사회와 직접적으로 접목시키는 것이 아니라, 등장인물을 통해 어떻게 적용되고 균열되는지를 조명하려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동의 소외에 따른 노동자의 이탈과 해체된 공간을 재현한 <로제타>로부터 유령적으로 존재하는 헤게모니적 양상을 살펴보고, <내일을 위한시간>에서는 집단적 노동자의 관계적 얽힘과 주체적 선택에 의해 충돌에서 합일을 향해가는 불완전한 헤게모니의 성취를 기술한다. 이는 두 영화의 노동 현장에나타난 반(反)으로서의 ‘유령적 헤게모니’와 정(正)으로서의 ‘작동하는 헤게모니’ 를 경유하며, 합(合)으로 정향하는 ‘변증법적 헤게모니’를 논구하는 것이라 할 수있다. 결론적으로 다르덴 형제가 열린 결말로 제시하는 그 변증법적 ‘합’이란, 다름 아닌 노동 공동체를 향한 희망적 단상 ‘들’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Among the labor films that set the workplace as a cinematic reality space, this study examines Rosetta (1999) and Deux jours, une nuit (2014). If Rosetta is a film that contemptuously captures the existence of individual human beings unable to work, Deux jours, une nuit uses the clash between collective workers as the narrative motif. The reason why I selected them in order to read the Dardenne brothers’ writings on the workplace is to compare the ideology of the worker, which expands from an individual existence to a collective relationship,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nalyze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 surrounding the work site beyond the spatial aspect of this work, this paper borrows Antonio Gramsci’s concept of ‘hegemony’. This is not to directly graft the labor problem of the two films with hegemonic civil society, but to illuminate how they are applied and cracked through the characters.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gemonic aspect that exists as a ghost is derived from Rosetta, which reproduces the deconstructed space and the departure of workers due to the alienat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Deux jours, une nuit describes the achievement of incomplete hegemony from conflict to unity through the relational entanglement and subjective choice of collective workers. As such, this study examines the ‘dialectical hegemony’ that is directed toward unity, via ‘ghost hegemony’ as the opposite and ‘acting hegemony’ as the positive, which appeared in the labor field of the two films. Through this, it will be confirmed that the ‘dialectical sum’ presented by the Dardenne brothers as an open ending is none other than ‘hopeful ideas’ for the working community.

목차

1.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場)’
2. <로제타>의 ‘유령적 헤게모니’
3. <내일을 위한 시간>의 ‘작동하는 헤게모니’
4. 무수한 합(合)으로 확장되는 노동의 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 (2021).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영화연구, (), 71-96

MLA

김소영. "다르덴 형제의 영화적 현실 공간, ‘노동의 장’에 나타난 변증법적 헤게모니." 영화연구, (2021): 71-9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