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Alternatives to Local Cinema Storytelling: Focused on Busan Inter City Residency Film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강지원 이태구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1호, 383~40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반복⋅재생산되는 스토리텔링으로 인해 하나로 굳어진 부산로컬 시네마의 이미지를 해체하는 대안으로 부산인터시티영화제(Busan Inter City Film Festival)의 레지던시 필름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그동안 부산의 로컬 시네마 이미지는 거친 바다와 드센 사투리가 남성 조폭과 엮여 만들어졌다. 이러한이미지는 영화 <친구>(곽경택, 2001)의 전국적 흥행 이후 재생산된 부산 조폭의스토리텔링에서 비롯하였고, 곧 부산의 이미지로 굳어졌다. 부산의 다큐멘터리스트들은 주목할 만한 행보를 걷고 있지만, 지속가능성의 문제를 해결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부산은 2014년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UCCN)에 가입하는 데 성공한 이후, 국내외 간의 교류를 통해 영화 네트워크 도시로서 활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세계 각국의 로컬시네마를 소개하는 부산인터시티영화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 영화제는 자체적으로 레지던시 영화제작 프로그램을 부산의 영화인이 다른 창의도시에서 영화를제작하고, 다른 도시의 영화인이 부산에서 영화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창의도시 간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지역에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려 한다. 이러한노력은 기존에 자리 잡은 부산의 폭력적 이미지를 해체하는 대신 고유한 자산이나 문화적 다양성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인터시티영화제는 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 부산이 추구하는 가치, ‘모두를 위한 영화(Film For All)’에 적합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 tudy a ims to p resent t he B usa n Inter City r esidency f ilm p roject a s an alternative to dissolving the image of Busan local cinema stuck due to repeated and reproduced storytelling. In the meantime, the image of Busan films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repeated storytelling created by the rough sea and the wild dialect intertwined with male Jopok(Korean gangsters). After the success of “Friend” (Kwak Kyung-taek, 2001), the storytelling of Busan Jopok w a s reproduced, which soon solidified into the image of Busan. The documentary filmmakers in Busan have acted noteworthy, but they have problems with sustainability in production. Since Busan succeeded in joining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UCCN) in 2014, it has been striving to become a film network city through exchang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One of them is the Busan Intercity Film Festival, which introduces local cinemas around the world. The festival aims to create a new image in the region through exchanges and collaboration between creative cities by conducting its own residency film production program in Busan by producing films in other creative cities and filmmakers in other cities in Busan. These efforts help revive unique assets or cultural diversity instead of dismantling the existing violent image of Busan. Therefore, the Intercity Film Festival can be said to be a text suitable for the value pursued by the UNESCO film creative city of Busan, “Film For All”.

목차

1. 서론
2. 부산 로컬 시네마의 스토리텔링
3. 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 부산의 제안
4.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지원,이태구. (2022).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영화연구, (), 383-407

MLA

강지원,이태구. "로컬 시네마 스토리텔링의 대안 연구." 영화연구, (2022): 383-40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