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Placeness in Hong Sang-soo’s films: Creating a placeness through the placelessness and a dépaysement: Focusing on (2011) and (2012)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문관규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1호, 327~3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홍상수 영화의 인물은 북촌과 서촌을 배경으로 배회하고 사건을 겪는다. 두 장소는 서울의 개발로 고유한 장소의 정체성이 훼손된 장소성 상실의 공간이며 등장인물들은 디아스포라의 장소성을 재현한다. 인물들은 북촌과 서촌의 소비 공간을 배회하는 정신적 디아스포라이다. 이들은 정주할 장소를 찾거나 구성원으로편입하려는 의지가 희박하다. 그들은 공동체와 결속력 약화를 욕망의 대상에 대한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보완하고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가시화한다. 북촌과 서촌이 개발로 인한 장소성을 상실했다면 욕망의 디아스포라들은 소속감의부재로 인해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체화한다. <북촌 방향>과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은 만남과 헤어짐의 행위를 반복하여인물의 뿌리뽑힘의 징후와 장소성 상실을 재현한다. 인물의 귀속할 장소의 부재는 욕망의 대상에 대한 환상을 팽창시켜 대상에 대한 소유의 사랑을 지향한다. 소유의 사랑은 <북촌 방향>에서 성준의 동침에 대한 욕망으로 반복되며 이는 남근적 주이상스의 추구로 집약된다. 인물의 관계는 관계의 지속가능성을 부정하고만남과 이별을 반복한다. 이는 뿌리없음과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편입 실패에 기인하며 바로 현대의 장소성 상실과 정신적 등가이다. 홍상수의 영화 주인공은 장소성 상실의 징후로 카페로 대표되는 소비 공간을 배회하며 욕망 역시 소모적으로 탐닉하여 장소성 상실의 결핍에 대한 충족의 일환이다. 이는 현대사회의 장소성 상실과 소외라는 징후와 마주하게 한다. 또한 인물들은 남한산성과 신사임당이라는 역사를 소환하여 현재 인물과 데페이즈망으로 배치한다. 인물과 역사의데페이즈망은 남한산성에서 남녀의 불균질적 관계가 병자호란 당시 군신의 관계를 체결하는 역사적 상황을 견인하며 사직공원의 신사임당상은 이데올로기적 판옵티콘으로 인물을 현모양처로 훈육하려 한다. 하지만 해원의 행위는 판옵티콘기능을 무력화한다. 역사적 장소와 인물은 영화에 소환되어 예술의 매개로 새로운 장소감의 생성과 해석의 층위를 두텁게 한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s in Hong Sang-soo’s films walk around Bukchon and Seochon, and meet some accidents. Bukchon and Seochon are the places where the identity has been dama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downtown Seoul. The characters are the spiritual diaspora wandering the places as the consuming space, represent the placeness. They are unwilling to find a place to settle down or incorporate themselves as members. They are filled with the pursuit of phallic jouissance for the object of desire, and are seen as the sign of the placelessness. (2011) and (2012) represent the placelessness and the symptom of eradication by repeating the act of meeting and breaking up. The absence of a place to belong expands the illusion of the object of desire, and aims at the possessive love for the object. In , Seong-jun’s desire repeated as the possessive love and boils down to the pursuit of the phallic jouissance.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denies the sustainability of it and repeat the meetings and breakups. This is due to rootless and failure to be mainstream, and is mentally the same as the modern placelessness. The main characters in Hong Sang-soo’s films wanders the consuming space represented the cafe as the symptom of placelessness. Their desire indulge consumptively and are part of the fulfillment of the placelessness, It leads the placelessness in the modern society face the alienation. Also the characters cite Namhansanseong and Shin Saimdang to deploy them as characters in films by dépaysement. The dépaysement of the characters and history drives the uneven relationship in Namhansanseong to the historical fact at the Second Manchu invasion, the statue of Shin Saimdang at Sajik Park as an ideological panopticon tries to discipline Haewon. However, Haewon’s actions neutralize the panopticon function. Historical place and figures are cited to the film and thicken the layer of interpretation, creating a new placeness as an medium of art.

목차

1. 서론 : 장소성 연구와 북촌과 서촌을 떠도는 디아스포라의 행적
2. 북촌과 서촌의 장소감과 뿌리뽑힌 자의 장소성 상실
3. 장소성 상실 징후로서 욕망의 대상 추구
4. 역사적 인물과 데페이즈망으로 장소감 생성
5. 결론 : 장소성 상실 징후와 장소감 생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관규. (2022).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영화연구, (), 327-353

MLA

문관규. "홍상수 영화의 장소성 연구." 영화연구, (2022): 327-35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