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Child Handwritten Film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허서연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1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아동 수기집을 원작으로 한 유현목의 아동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영화화 양상을 통해 그의 예술적 지향점을 살펴보는 것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0년을 전후로 하여 유현목 감독이 제작한 영화들은 시대적 경향으로 인해 등장인물이 사회적 모순을 통해 고난을 겪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동시기 제작된작품 <구름은 흘러도> 또한 원작인 수기집에 담긴 당시의 사회적 모순으로 인해아동이 겪는 고통을 보여주고자 한다. 해당 작품의 결말은 타 작품들과는 달리그 결말이 환경 선화적 형태를 띠며 문제가 봉합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작품은 주인공인 말숙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을 통해 관객에 게 서사와 관련된 다량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더불어 이를 소통의 창구로 활용하며 등장인물들이 성찰을 통해 행동하게끔 한다. 일련의 과정은 관객이 주인공 말숙의 정보를 취하는 것에서 나아가 작품에 동화되며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지각하고 의식화하여 외연적인 의미를 구성하게 하며 당시 시대상황에대한 성찰과 행동을 할 수 있게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ims to examine Director Yu Hyun-Mok’s artistic orientation shown in the aspect of cinematizing his Child Handwritten Film based on a collection of children’s memoirs. All the movies produced by Director Yu Hyun-Mok around 1960 show a common feature in which their characters go through hardships because of the tendency of the time. Thus, the work produced in that period also aims to show the children’s pain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 of the time. Contrary to other works, the relevant work comes to an end as the problem is solved, which is noticeable. Through the main character Mal-Sook’s voice-over narration, the work delivers lots of information related to narrative to the audience, and also utilizes it as a window for communication, so the characters act through introspection.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audience takes the information from the main character Mal-Sook, assimilates to the work, composes the explicit meaning by perceiving and becoming aware of what the movie aims to deliver, and gets an educational opportunity to introspect and act the situation of the time.

목차

1. 들어가며
2. 〈구름은 흘러도〉의 영화화와 배경
3. <구름은 흘러도>의 소재와 서사의 차용
4. <구름은 흘러도>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 효과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서연. (2022).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영화연구, (), 5-26

MLA

허서연. "아동수기영화 <구름은 흘러도>의 지향점 연구." 영화연구, (2022): 5-2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