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49년의 한국영화, 그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and Historical Aspects of Korean Cinema in 1949: Focusing on A Diary of Woman, The Blue Hill, Pilot An Chang-Nam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함충범 정태수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3호, 287~31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홍성기 감독의 <여성 일기>, 유동일 감독의 <푸른 언덕>, 노필 감독의 <안창남 비행사> 등 일련의 작품군을 중심으로 해방기 한국영화의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을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다수의 영화들이 16mm 필름으로 촬영되거나 무성 영화 형식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면에서 해방 후 최초의 컬러 극영화 <여성 일기>, 최초의 뮤지컬 영화 <푸른 언덕>, 최초의 항공 촬영 영화 <안창남 비행사>가 1949년을 경유하며등장하였다는 사실에서 영화사적 의의가 발견된다. 그런데 이들 세 작품은 컬러필름을 사용하고 음악 장르를 접목하며 항공 촬영을 감행함으로써 기술적 진전을 이루기는 하였으나, 이러한 변화는 16mm 영화나 무성 영화의 형태로 해방 초기 이후 영화계를 둘러싼 기술적 제약의 지속 현상과도 공존해 있던 것이었다. 그리고 동시에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영화와의 관계망 속에 위치하였던 바, 여기에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통과하며 더욱 복잡하게 얽히게 된 민족/국가 및 탈/식민의 문제가 결부되어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I explored the technical and historical aspects of Korean film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cusing on A Diary of Woman, The Blue Hill, Pilot An Chang-Nam. And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three facts as follows. First, after liberation in 1945, many films were made in the form of 16mm films or silent films in South Korea. Therefore, it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cinema that the first color feature film after liberation A Diary of Woman, the first musical film after liberation The Blue Hill, and the first aerial film after liberation Pilot An Chang-Nam were released in 1949. Second, each of these films achieved technological progress by using color film, combining music genres, and attempting aerial cinematography. However, these films also revealed the continuity of technological limitations from the early days of liberation, such as being made on 16mm film. Third, these films had relationships with Joseon film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ese films were also associated with issues of nation-state and post/colonialization, which became more complica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목차

1. 들어가며
2. 컬러 필름, 음악 장르, 항공 촬영의 기술적 활용
3. 해방 초기 이후 기술적 제약의 지속성과 변화상
4. ‘국가 영화’에 대한 기술적 지향, 그리고 식민지 경험과의 연결 지점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충범,정태수. (2022).1949년의 한국영화, 그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 영화연구, (), 287-312

MLA

함충범,정태수. "1949년의 한국영화, 그 기술적 진전 및 시대 반영의 양상들." 영화연구, (2022): 287-31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