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hod Road: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expansion of the road film genr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최민정 배상준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3호, 175~20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르체계의 배타성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 영화의 장르 개념을 시대상과 미학적 양식이 응집된 다차원적 현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출발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로드무비는 근대성이 초래한 저항 세대의 상실감을 비장소적 경계에서의 일탈적 경험을 통해 그려내는 동시대적 문화 현장의 결집체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1960년대 본격적으로 영화 장르로 자리매김한 로드무비는 구조화된장르 체계 안에 포섭되며 성차적 특성과 고속도로 등 한정된 장르적 관습과 도상에 잠식당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시대와 문화를 가로지르며 다양한 장르에서발견되는 로드무비적 정체성을 축소하기에 재고되어야 마땅하다. 본고는 이러한한계를 직시하고 로드무비를 포괄적인 영화의 방법론으로 전환하기 위해 ‘메소드로드’라는 새로운 키워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는 장르를 비규정적 현상으로 발견하는 학자들의 논의를 토대로, 필름 누아르 장르를 방법론적 개념으로 전환한 뢰베캄프의 ‘메소드 누아르(méthode noire)’를 모델로 하여 이루어졌다. 로드무비를 공간적 관점에서 독해하고 현상으로 위치시키는 과정을 통해, 본고는이 장르의 영화 방법론으로서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편의 장르영화를 분석하며 유목적 주체가 의미화되지 않은 비정형의 열린 공간을 끊임없이 이동하며 장소화 해 나가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응축하는 방법론으로서 로드무비가 작동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nderstands the film genre as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in which the times and aesthetic styles accumulated. A road movie genre is a collection of a contemporary cultural phenomenon that portrays the sense of loss of the young rebels caused by modernity through aberrant experiences in non-space boundaries. However, road movies, which became a genre in the 1960s, are included in a genre system and tend to be eroded by limited genre stereotypes and conventions such as gender difference characteristics and highways. So we should reconsider this practice because it could constrain the possibilities of road movie identities found in various genres across times and cultures. This paper proposes a new keyword called ‘method road’ as an alternative to convert the road movie genre into a comprehensive film methodology, modeled after B. Röwekamp’s ‘méthode noire’. Understanding road movies from a spatial perspective and positioning them as a genre phenomenon, this pap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as a film methodology of the road movie genre.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find that road movies’ identities are working as a methodological engine of films that condense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in which a ‘nomadic subject’ is constantly moving and space-forming an as-yet meaningless atypical open plac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장르-현상
3. 메소드 로드(method road): 방법론으로서 로드무비
4. 메소드 로드의 적용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