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 udy on t he R emediation and Digit al V irt uality in VICE(2018) by Adam McKa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주봉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3호, 29~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국문 초록
본고는 아담 맥케이 감독의 영화 <바이스>가 구성하는 형식 스타일의 특성과그 영화적 태도가 디지털 시대의 현실 인식에 상응한다는 사실을 살펴보고 있다. 영화의 플롯 구성과 다중미디어 이미지를 재매개하는 형상화 방식을 통해서 영화 내러티브 세계가 해체되고, 영화 현실은 가변적 특성을 전면화한다. 특히, 이질적인 다중미디어가 재매개되는 방식은 디지털 시대의 현실 인식과 상응한다는맥락에서 흥미롭다. 주인공의 소위 ‘객관적’ 영화현실과 허구나 상상과 같은 가상을 형상화하는 경우, 그 시각 스타일에서 어떠한 차이도 없는 구성은, 이 영화적세계에서 안정적인 현실을 구성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상이 현실과 똑같이 하나의 현상으로 우리 눈앞에 펼쳐질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영화가 구성하는 세계에서는 현실과 가상 사이에는 어떤 위계가 없으며, 이 두세계 모두 관객에게는 똑같이 경험되는 실재가 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모듈성에근거를 둔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는 더 이상 소위 ‘객관적’이라고 알려진 현실을모사하는 재현 이미지가 아니며, 다양하고 새로운 가상을 구성하는 이미지가 된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이는 디지털 시대에 상응하는 영화적 경향이라 할 것이다. 본고는 맥케이 감독이 영화를 구성하는 이미지들과 유희하면서 구성하는 영화적 세계가 가변적인 다층 현실을 담고 있는 리좀형 세계를 구성하며 디지털 가상과 관계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 try to understand a tendency of the Cinema in digital virtual age. For this purpose, I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l style in McKay’s VICE and its cinematic attitude. In this film, the narrative world is deconstructed with composing the plot structure and remediating the analog media image. And the possibility of reality being variable is revealed. When the main character’s so-called ‘objective’ reality and imagination such as fiction and fantasy are described, no difference of images composition in each style suggests that it cannot only form any stable reality in this deconstructed cinematic world but also allows the recipient to perceive the virtual as ‘the real’ just like a character’s reality. In the images of this cinematic world, there is no hierarchy between the image of the character’s reality and the image of the fiction or fantasy. Each image in these different worlds becomes ‘the real’ that is experienced equally by the audience. This cinematic attempt corresponds to the philosophical perception of reality in the digital virtual age. The image in the digital virtual age based on digital modularity is no longer the representation-image that imitates reality known as ‘objective’. It becomes the ‘technical image’ of Vilém Flusser that creates and project various alternative virtual worlds. In this sense, images in McKay’s VICE construct the variable multi-layered cinematic world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virtual er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다중미디어 재매개 시대의 재현 이미지
	                       
	                          3. <바이스>의 재매개 전략과 영화적 구성
	                       
	                          4. 탈선형적 리좀형 세계로서 영화 <바이스>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