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Emotional Competence Model for Counselor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임유하(Yoo-Ha LIM) 신주연(Joo-Yeon SHI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6호, 251~2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직업특성과 직무내용을 고려한 정서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현장전문가 면담을 종합하여 초안을 개발하고 델파이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정된 역량모델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총 4개 역량군 10개 역량요소와 48개의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역량군과 역량요소는 정서인식 역량(자기정서인식, 자기효능감, 공감), 정서관리(정서표현, 낙관성, 스트레스 관리, 문화적 감수성), 조직정서인식(조직문화이해), 조직정서관리(협조적 관계구축, 갈등관리)로 구성되었다.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스트레스 관리, 공감, 문화적 감수성 역량이 최우선으로 개발되어야 할 역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서적 역량을 상담자의 타고난 자질 혹은 인격, 성품 등으로 간주하기보다는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개발 가능한 능력으로 보았으며 이를 상담 장면에서의 구체적인 지표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상담자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체적인 교수목표 구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competence model that considerscounselors' job characteristics and job contents, an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For thispurpose, a draft model was developed by literature stud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and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a Delphi survey. Finally, we analyzed educational needs for thefinalized competence model. As a result, a total of 4 competence groups, 10 competenceelements, and 48 competence indicators were derived. The competence groups and competencefactors consisted of emotional awareness(self-emotional awareness, self-efficacy, empathy),emotional management(emotional expression, optimism, stress management, cultural sensitivity),awareness of emotions at work(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ofemotions at work(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tress management, empathy, and cultural sensitivity were identified as priority competencies tobe develop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s counselor emotional competence asan ability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rather than as an innate quality,personality, or character of the counselor, and systematically presents it through specificindicators in the counseling scene.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organize the contents andspecific teaching targets of programs to promote counselor emotional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