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탁언효(Eon-Hyo TAK) 이아라(A-Ra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6호,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노화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자기자비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된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0~59세 중년여성 308명을 대상으로 노화불안,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자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에는 SPSS Macro PROCESS를 통한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이 지각된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서 중년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기자비를 통한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effect of aging anxiety on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confirmed whether self-compassion mediates thesemediating effects. To this end, 308 middle-aged women aged 40 to 59 in Korea were measuredfor aging anxiety, depression, perceived stress, and self-compassion. Regression analysis andbootstrapp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through SPSS Macro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Perceived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influence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significant in the influence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Third, self-compassion moderated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tried to discuss that intervention through self-compassioncan be helpful to reduce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