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이용수 56
- 영문명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Jungse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877~8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영어 교양 수업에서 전통적인 영어 단어 교수와 학습 방법과 코퍼스 (언어 뭉치)를 이용하여 단어 교수 방법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과정을 소개하고 학습 결과에 대한 설명 및 분석을 하였다.
방법 전체 참여한 55명의 여학생들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통제 집단인 그룹은 28명의 학습자로 기존 방식의 단어 연습을 하고 다른 실험 집단은 27명이며, 코퍼스를 기본으로 하는 영어 단어 연습을 하였다. 한 학기 동안 두 그룹은 모두 같은 내용, 학습 자료와 같은 양의 단어를 동일 조건으로 학습하였고, 단지 다른 두 종류의 단어 학습만을 본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하였다. 네 가지 종류의 실험 도구를 학습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학습자들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단어 시험, 문법 시험, 설문지와 셀프 리포트의 네 가지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는 통제집단, 실험집단 모두 단어 시험과 문법 시험에서 유의미한 향상된 점수를 획득한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실험 집단은 문법 시험에서 통제 집단보다 더 큰 점수 향상이 있었다. 설문지와 셀프 리포트를 통하여,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여러 가지 감정이나 의견을 드러냈다. 상세하게는 학생들은 단어 학습의 흥미와 문장을 통한 단어 학습의 선호도를 셀프 리포트를 통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표현하였으나 일부 부정적인 의견으로는 수업의 난이도가 너무 쉽고 영어에 대한 흥미가 적다는 사실을 표현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코퍼스를 기반으로 하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영어 어휘에 관한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며 한국인 대학 학습자들을 위한 영어 어휘 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introduce a methodology of teaching and learn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fifty-fiv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included twenty-eight subjects and they took vocabulary lessons in the traditional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had twenty-seven learners and they did corpus-based vocabulary exercises. They were all female students. During one semester, the two groups studied all the same content and amount of target vocabulary, but they practiced two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exercises at the beginning of the lessons. Four instrument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learners: vocabulary tests, grammar tests, questionnaires and self-reports.
Results The result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two groups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post vocabulary and grammar tests.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di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grammar. Through questionnaires and self-reports, the students shared various feelings and opinions of the two classes after lessons. They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nd feelings about learning English and favoured the idea of studying vocabulary with self-reports. Some students felt the class was too easy.
Conclusions This research suggests an effective method for teaching corpus-based vocabulary. It also stat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has implications in TESOL for Korean College learners as they study the lexi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