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impact of child's peer play interaction on child's Positive-prosocial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정(Yun Jung Lee) 백영숙(Young Suk Paik) 오현숙(Hyun Suk 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707~7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국문 초록
목적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독립변인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G시, J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교사 174명과 만 5세 유아 49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변인 간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확인한 결과, 첫째 독립변인인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과 매개변인인 교사-유아 상호작용, 종속변인인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론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도 의미가 있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더해 질 경우 더욱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실제 교육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child intera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which affects children's positive-prosocial behavior.
Methods Relationships and influence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children's positive and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examined among 174 preschool teachers and 498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 City and J Province. To confirm,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mediation effect using PASW 24.0.
Result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independent variabl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the mediating variabl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children's positive-prosocial behavior.
Conclusions Although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is a meaningful variable that affects children's positiveprosocial behavior, it can be predicted that it will have a more meaningful impact when teacher-child interaction is added. This suggests that re-education is needed to promot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at can be directly us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and children's positive-prosocial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