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arner Status and Perception of Education using Metaverse(moim):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재훈(Jae Hoon Yang) 조보람(Bo Ram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593~6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k대학교 메타버스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90%가 메타버스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고 사용 용도로는 ‘게임’이 가장 높았다. 둘째, 메타버스는 수업에서 주로 ‘이론 강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의 84%가 메타버스 활용 교육이 학습자의 학습흥미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의 63%가 향후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수강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연구대상의 57%가 향후 메타버스 활용 수업이 확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여섯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좋았던 점은 ‘아바타를 활용한 수업참여’와 ‘새로운 것에 대한 경험’ 이라고 하였다. 일곱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어려웠던 점은 ‘수업에 집중하기가 어려움’과 ‘익숙하지 않은 가상세계’ 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k대학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을 살펴보고 수업설계 및 운영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s regarding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suggest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and operation for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online from June 26 to June 30, 2023, targeting learners taking meta-verse courses at K University.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90% of the study subjects had heard of the metaverse term, and the most common use was ‘games.’ Second, the metaverse was mainly used in class for ‘theory lectures’. Third, 84% of the research subjects re-sponded that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Fourth, 63% of the study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take a class on metaverse utilization in the future. Fifth, 57% of the research subjects said that classes using the metaverse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Sixth, the good things about classes using the metaverse were ‘participation in classes using avatars’ and ‘experience of new things.’ Seventh,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classes using the Metaverse were ‘difficult to concentrate in class’ and ‘unfamiliar virtual world’.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learners'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K University's metaverse-based education and made efforts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