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우(Hee-Woo Lee) 박기환(Kee-Hwa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531~5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일반 성인 496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척도(K-ERRI), 한국판 사건 충격척도 수정판(IES-R-K),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K-PTGI),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K-CERQ)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주요 변인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고,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의도적 반추 이후 어떠한 정서조절 전략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외상후 증상 또는 외상후 성장의 경험 가능성이 변화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치료적 함의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C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D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PTSS) and posttraumatic growth(PTG).
Methods 496 people comple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 Trauma Events Checklist, the Korean Version of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K-ERRI),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the Korean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the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K-CERQ).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deliberate rumination, maladaptive CER, adap-tive CER, PTSS and PTG, although adaptive CE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TSS.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ER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ER was found. The suppression effect of adaptive CER was sugg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TG,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ER was foun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PTSS or PTG after deliberate rumination depends on the typ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ing u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