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of respect for students as seen through the curriculum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오(Jino Kim) 정광순(Kwangso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509~5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민주주의 원리 중 존엄성 존중 원칙에 입각하여 학생 존중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서 D초등학교 5학년 나래반 교실에서 교육과정 ‘내가 살던 곳으로 떠나요’를 실행한 뒤 교사와 학생이 실제로 한 일들을 기술하고, 이를 Beane의 민주주의 원리인 존엄성 존중 원칙에 입각해서 질적으로 사례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생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세 가지 찾았다. 첫째, 교실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발언권을 가지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의미다. 둘째, 교사와 학생이 교육과정 주제와 내용, 평가 방법 등을 협력하여 결정한다는 의미다. 셋째, 학생이 자신의 배움 활동을 스스로 평가한다는 의미다.
결론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하는 교육과정에서 학생을 존중한다는 이런 의미는 결국 학생을 교실에서 실행하는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 보고, 참여를 수업을 넘어 교육과정에 개입하는 일로 여기며, 교실 민주주의 문화를 조성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respect for students was explored based on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dignity among democratic principles, targeting curriculum implemented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Methods To this end, the 5th grade Na-rae class case (Let’s go to where I lived) of D elementary school was de-scribed as a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and a case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Beane’s democratic principle of respect for dignity.
Results As a result, three meanings of respecting stude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n the classroom. First, it means that students can have a voice and influence over the curriculum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in the classroom. Second, It means that teachers and students collaborate to decide on curriculum topics,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Third, it means that students self-evaluate their own learning activities.
Conclusions This meaning of respecting students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is ultimately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viewing students as agents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classroom, thinking of participation as intervening in the curriculum beyond engaging class, creating a classroom democratic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민주주의 원리에 대한 Beane의 시각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교실에서 실행한 ‘내가 살던 곳으로 떠나요’ 기술
Ⅴ. 존엄성 존중 원칙 분석과 의미 진술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