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s of Civil Servants in Charge of Security and Security in the Ministry of Justice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강정환(Jung Hwan Kang) 김현호(Hyun 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2券 第5號, 255~2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법부 경호보안 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총 336명의 최종 연구대상자로부터 20문항의 연구 조사 변인에 대하여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독립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우선 연령, 학력, 근무경력, 급여에 따라 표면적행동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직무에 대한 지식과 정보 소유의 차이와 경험에 의한 대응과 대처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사법부 경호보안 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은 인구사회학적 집단 구분에 따라 직무태도는 구조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감정노동이라는 문제가 모든 구성원 공통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고 분석된다.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환경의 변화와 개선이 특정 사회학적 분류에 따라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감정노동에 의하여 피로감을 느끼는 종사자들에 대한 복지와 혜택이 보편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직무만족은 직무에 대한 평가 시 나타나는 애정적 반응의 정서 상태를 나타내므로 내면적행동과의 관계가 높을 수 있다. 이에 종사자 개인의 기분이나 감정 통제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은 사법부 경호보안 담당 공무원의 직무가 감정노동의 범주 안에 속하며 이는 환경적으로 사법부 조직 내 직무활동을 하는 이해관계자 및 각종 직무별 집단 사이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거나 매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법부 경호보안 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의 부정적 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ecurity and security at the judiciary on job attitudes. A total of 336 final study subjects conducted a survey of 20 research variables using the self-evaluation entry meth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research analysis method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clusion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ce in superficial behavior depending on age, education, work experience, and salary is due to the difference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ownership about the job and the difference in response and response based on experience.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of emotional labor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ecurity and security at the judiciary shows no structural difference in job attitud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group classification, and the problem of emotional labor is recognized as a common problem for all members.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work environment due to emotional labor do not need to be made according to a specific sociological classification, and welfare and benefits for workers who feel tired by emotional labor need to be strengthened in general.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represents the emotional state of the affectionate response that occurs when evaluating the job, so it may have a high relationship with inner behavior.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the individual employee's mood or emotional control is direc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duties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ecurity and security at the judiciary fall within the category of emotional labor, which can environmentally cause or function as a medium among stakeholders and various job groups. Therefore, efforts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of emotional labor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ecurity and security at the judicia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의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